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7~8월 강의질문]  사단칠정논쟁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23년 08월 08일 22시 53분
조회수
347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네. 이기지묘로 이해하셔도 무방합니다. 그리고 “사단과 칠정에 처음부터 두 뜻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는 사단이 칠정에 포함되는 것임을 강조하는 주장입니다. 그리고 이이와 마찬가지로 기대승 또한 칠정과 사단의 연원을 같은 것으로 봅니다. 2. 기대승은 주희의 ‘성발위정’ 주장을 수용하여 모든 정은 본연지성이 발하여 나타난 것이라고 주장합니다. 그리고 나서 기대승은 본연지성이 발하여 나타난 정이라 해도 무조건은 선한 것은 아니라고 봅니다. 즉, 모든 정은 본연지성이 발하여 나타난 것이지만, 마음의 주재를 받아 절도에 맞지 않으면 그러한 정에 불선이 있게 되고, 절도에 맞으면 선한 정이 된다는 것이 기대승의 주장입니다. 이때 선한 정의 별칭이 사단입니다. 기대승은 본연지성과 기질지성의 성격에 대한 주희의 입장을 그대로 수용하였습니다. 3. “심중에 있을 때는 참으로 순수한 천리여서 이 때는 다만 성일뿐 정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에서 ‘심중에 있을 때’란 미발의 마음을 일컫는 것입니다. ▒▒▒▒▒▒ [김예지 회원님의 글] ▒▒▒▒▒▒ 기대승의 첫 번째 비판 중 1) “무릇 이는 기의 주재이고 기는 이의 재료이니, 둘은 진실로 분별되는 것입니다. 그러나 사물에 있어서는 실로 혼합되어 분리될 수 없는 것입니다.”를 이이의 이기지묘로 이해해도 문제가 없을까요? 그리고 2) “사단과 칠정에 처음부터 두 뜻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는 결국 사단과 칠정의 연원이 다르지 않다는 뜻인가요? 기대승의 두 번째 비판 중 1) “사단은 참으로 인의예지의 성에서 발한 것입니다. 그러나 칠정도 인의예지의 성에서 발한 것입니다.”는 사단과 칠정이 이(본연지성)가 발한 것이라는 건가요? 그렇다면 2) 기대승의 입장에서 본연지성과 기질지성의 관계는 무엇인가요? 그리고 3) 사단과 칠정은 정이라는 생각이 드는데, “심중에 있을 때는 참으로 순수항 천리여서 이 때는 다만 성일뿐 정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라는 문장이 이해가 잘 되지 않습니다. 3)과 연결하여 4) 사단과 칠정은 모두 선한 것인데 감정이 발하여 절도에 맞으면 선한 정이되고, 그것이 절도에 맞지 않으면 악한 감정이 된다는 것 또한 동시에 사단과 칠정은 모두 정인데, 그 정이 발하여 절도에 맞으면 선한 정이 된다는 것으로 이해가 되는데 맞나요? 항상 좋은 강의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