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7~8월 강의질문]  주희, 프로이트

작성자
김예지
등록일
2023년 08월 27일 16시 08분
조회수
124
첨부파일
주희 1) 심통성정에서 마음은 성과 정을 거느린다고 할 때의 마음에는 성과 정이 갖추어져 있는 것이니, 정이 존재하지 않는 미발시의 마음이 아니라 이발시의 마음과 동일시 되는 것일까요? 2)미발이발설 설명해주실 때 정은 성이 발한 것이라고 하시고 이어서‘화’를 설명하실 때는 정이 발하여 절도에 맞는 상태라고 표현하셨는데, 성이 발한 정이 절도에 맞는 상태라고 이해해도 될까요? 정이 발하여 절도에 맞는 상태라고 하니 이미 발한 정이 또 발하는 것 같이 느껴집니다 ..! 프로이트 1) 자아의 불안 개념에서 등장하는 환경적 조건이 자아가 원초아의 요구를 만족시키는 현실적인 방법에 해당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나요?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