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7~8월 강의질문]  왈처 질문드립니다.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23년 08월 30일 10시 02분
조회수
234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지배적인 사회적 가치란 그 가치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 그것을 가지고 있다는 이유 때문에 다른 가치들을 그것의 고유한 사회적 의미와는 상관없이 쉽게 소유할 수 있는 가치입니다. 따라서 지배적인 사회적 가치를 부당하게 이용한다는 것은 다른 가치들을 그것의 고유한 사회적 의미와는 상관없이 쉽게 소유하기 위해 지배적인 사회적 가치를 이용한다는 말입니다. 이러한 효력을 지닌 지배적인 사회적 가치를 특정 개인 혹은 집단이 배타적으로 소유하는 현상을 일러 독점이라 합니다. 왈처가 말한 다원적 분배의 결과로 나타나는 독점과 부정의한 현상으로서의 독점은 다른 개념입니다. 전자는 지배로 전환되지 않지만, 후자는 지배를 위해 이용되는 독점입니다. 두 개념을 구분하여 이해하셔야 합니다. 2. 지배적인 사회적 가치를 균등 분배하여도, 자유 교환 체계가 작동한다면 개인들 사이에 사회적 가치의 자유로운 거래가 이루어질 것이고, 거래의 결과 지배적인 사회적 가치를 독점하는 사람이 생겨나게 될 것입니다. ▒▒▒▒▒▒ [최윤지 회원님의 글] ▒▒▒▒▒▒ 1. 왈처의 독점 개념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원문에서 '독점은 지배적인 사회적 가치들을 '부당하게' 이용하기 위해 사회적 가치들을 소유 혹은 통제하는 방식을 묘사한다.' 고 되어있는데 , 사회적 가치들을 '부당하게'이용하기 위한 게 독점이라는 점이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교수님께서 예를 들어주신 '소수만이 교사 직위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은 사회적 가치들을 소유하는 것이지만 사회적 가치들을 부당하게 이용하기 위한 것은 아닌 것처럼 느껴집니다. 마찬가지로 복합 평등의 사회도 독점은 허용하나 지배는 허용하지 않는 사회인데, 이러한 사회는 사회적 가치를 부당하게 이용하기 위한 사회적 가치 소유와 통제를 허용하는 사회인 것인가요? 해당 부분을 어떻게 생각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2. 왈처의 단순평등 체제에서 단순평등 체제가 결국 불평등을 낳을 수 밖에 없는 이유를 잘 모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