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7~8월 강의질문]  주희, 프로이트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23년 08월 30일 10시 12분
조회수
134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주희 1. ‘심통성정’ 개념은 미발의 마음과 이발의 마음의 특성을 전체적으로 지시하는 개념입니다. 물론 미발의 마음에는 정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2. 정이 발하여 절도에 맞다는 것은 발한 정이 도리에 어긋나지 않음을 의미합니다. 천리인 성에 따라 곧바로 발출된 정은 도리에 어긋나지 않으므로, 절도에 맞는 정입니다. 프로이트 1. ‘환경적 조건’이란 자아가 처해 있는 구체적인 환경의 상황을 말합니다. 자아가 원초아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환경적 조건을 고려하여 욕구 충족을 위한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 [김예지 회원님의 글] ▒▒▒▒▒▒ 주희 1) 심통성정에서 마음은 성과 정을 거느린다고 할 때의 마음에는 성과 정이 갖추어져 있는 것이니, 정이 존재하지 않는 미발시의 마음이 아니라 이발시의 마음과 동일시 되는 것일까요? 2)미발이발설 설명해주실 때 정은 성이 발한 것이라고 하시고 이어서‘화’를 설명하실 때는 정이 발하여 절도에 맞는 상태라고 표현하셨는데, 성이 발한 정이 절도에 맞는 상태라고 이해해도 될까요? 정이 발하여 절도에 맞는 상태라고 하니 이미 발한 정이 또 발하는 것 같이 느껴집니다 ..! 프로이트 1) 자아의 불안 개념에서 등장하는 환경적 조건이 자아가 원초아의 요구를 만족시키는 현실적인 방법에 해당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나요?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