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월 강의질문] 교과교육론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23년 09월 11일 20시 37분
- 조회수
- 207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프로이트
리비도는 성적 충동을 의미하는 용어입니다.
블라지
도덕적 이해가 성격의 중심으로 통합되면 도덕적 정체성이 형성됩니다. 도덕적 이해가 성격의 중심으로 통합된다는 것은 도덕적 이해가 자아 구조에 통합되어 그것의 핵심을 이루게 된다는 말입니다. 이렇게 되면 도덕적 정체성이 형성됩니다. 따라서 도덕적 정체성을 구성하는 핵심 요소는 도덕적 이해와 자기 일관성(자기 일치의 경향성)입니다. 도덕적 정체성을 통해 도덕적 이해는 자기 일치의 경향성에서 비롯되는 자아 일치의 욕구와 결합하게 되는데, 주관적이고 내적인 정서는 이 욕구를 일컫는 것입니다. 이처럼 도덕적 이해가 자아 일치의 욕구와 결합하게 되면 그것은 동기적 힘을 얻게 됩니다.
칸트.
네.
▒▒▒▒▒▒ [김예지 회원님의 글] ▒▒▒▒▒▒
프로이트
1. 정신 에너지(리비도)가 성적 충동만을 뜻하는 것인가요 아니면 공격 충동까지 포함하는 개념인가요?
블라지
1. 도덕적 이해는 그 자체로 행동을 산출하는 힘이 없고 주관적이고 내적인 정서와 결합할 때 행동으로 나아갈 수 있는 동기적 힘이 생긴다고 했는데 이러한 과정이 도덕적 정체성이 형성되는 과정인건가요?
2. 그렇다면 도덕적 정체성이 도덕적 이해가 성격을 중심으로 통합된다는 말에서의 성격도 일종의 주관적이고 내적인 정서인가요? 성격의 중심이라는 말이 자아의 본질이 되는 것이라고 하는 설명을 보아 성격과 주관적이고 내적인 정서는 서로 다른 것 같은데 어떻게 다른건지 모르겠습니다 ..!
+ 추가 질문드립니다.
칸트 복습하는 과정에서 생긴 의문점인데요.
의지는 도덕법칙에 따라 행위할 수 있는 능력이기는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도덕법칙에 반드시 순종하지는 않는다. 이 문장에서의 의지는 선의지와 구별되는 인간의 의지라고 보면 되나요? 만약 그렇다면 이성의 강요에 의해 이러한 의지가 도덕법칙에 맞게 규정되면 그 의지는 선의지인가요 ..?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