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5~6월 강의질문]  프로이트 질문입니다.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23년 09월 19일 21시 11분
조회수
142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인간 발달은 리비도 혹은 성적 충동의 만족이 아니라 성적 충동과 사회적 기대 사이에서 발행하는 정서적 갈등의 해결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입니다. 2, 3. 어머니에 대한 근친상간 욕구와 그러한 욕구 실현에 방해가 되는 아버지에 대한 증오를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라 합니다. 이는 곧 거세 공포를 동반하게 되는데, 남아는 아버지와 자신을 동일시함으로써 거세 공포에서 벗어나고자 하고, 이것이 성공하게 되면 오이디푸스 콤플렉스가 극복됩니다. 문명화된 사회는 근친상간 행위를 매우 부도덕한 것으로 간주하고, 강력한 처벌을 통해 그러한 행위를 제지하려 합니다.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겪는 남아에 대한 사회적 기대란 부모에 의해 표현되는 그러한 사회의 요구입니다. 아버지와의 동일화는 이러한 사회의 요구, 즉 사회의 도덕의 내면화를 의미합니다. ▒▒▒▒▒▒ [이주연 회원님의 글] ▒▒▒▒▒▒ 안녕하세요 교수님! 프로이트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1. 심리성적발달단계 표를 보면, 남근기에 리비도의 만족의 결과로 초자아가 형성된다는 것 같은데, 오이디푸스 컴플렉스를 생각해보면 선천적인 본능적 욕구를 만족시키지 못하고 아버지와의 동일시를 택한 것이므로 리비도를 만족시키지 못한 것이 아닌가 하는 의문이 듭니다.. 2. 교재의 선천적인 본능적 욕구와 사회의 기대 사이에서 발생하는 정서적 갈등의 경험이 도덕성 발달을 이끈다. 라는 문장에서 오이디푸스 컴플렉스 중 어느 부분이 사회의 기대에 해당하는지 잘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선천적인 본능적 욕구가 있으나 거세의 공포로 아버지와의 동일시를 택해 도덕성이 발달하는 것이 아닌지요?? 3. 교수님께서 에릭슨 수업 중 프로이트는 에릭슨과 달리 각 단계에서 겪는 심리성적갈등을 부정적으로 본다, 그리고 심리성적갈등은 욕구와 사회적 기대간의 갈등이라고 하셨는데 여기서 사회적 기대가 뭘 말하는지 잘 모르겠고 심리성적갈등과 심리성적발달단계 표의 리비도, 만족의 결과 부분이 잘 연결이 되지 않습니다ㅠㅠ

본문

댓글목록

profile_image

이주연의 댓글

이주연 작성일 2023-09-20 22:41:06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