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0월 강의질문] 모의고사 반두라 문항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23년 09월 20일 19시 20분
- 조회수
- 190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도덕적 자기 비난이 비난받을 만한 행위로부터 이탈하는 현상, 달리 말해서 개인이 비도덕적인 행동을 하였을 떄, 그러한 행동을 정당화하고 옳다고 생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자신의 행동을 다양한 방식으로 해석하거나 변형하는 과정을 도덕적 이탈이라 합니다. 이처럼 도덕적 이탈은 어떤 심리적 능력이나 정서를 지시하는 개념이 아닙니다. 또한 그것은 판단과 행위 사이에 생겨나는 불일치의 원인을 설명하는 개념도 아닙니다. 따라서 도덕적 이탈은 답이 될 수 없습니다.
2. 자기효능감은 간략히 말해서 자신의 수행 능력에 대한 신념이고, 자기(자아)존중감은 도덕규칙을 준수하였을 때 생겨나는 자기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정서입니다.
▒▒▒▒▒▒ [고경호 회원님의 글] ▒▒▒▒▒▒
교수님 안녕하세요? 어제 학원에서 모의고사 푼 수강생입니다.
반두라 문항과 관련하여 오답을 하다 질문사항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A형 5번 문항 질문드립니다.
ㄷ이 자기효능감이 답인데요, 저는 도덕적 이탈을 작성하여 틀렸다고 체크를 했습니다.
집에 와서 복습을 하는데 왜 도덕적 이탈이 답이 될 수 없는지 계속 생각을 해보았는데 제가 정리한 내용이 맞는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1. 이 문항은 자기 규제와 관련하여 묻는 문항이다.
2. 본문 말미에 "ㄷ이 작용하기 때문에 자기 규제적 능력을 지니는 것과 그러한 능력을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능력 사이에는 불일치가 생길 수 있다" 라는 문장은 도덕적 이탈을 묻는 문항이 아닌 자기규제 메커니즘이 그 하위요소인 내적 제재와 자기효능감이 어떻게 발현하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라고 해석하는 것이 올바른 해석이다.
3. 2번에 인용한 내용을 보고 도덕적 이탈이라고 생각을 하였지만, 도덕적 이탈이 답이될 수 없는 이유는 작성 방법에 도덕적 행위의 동기와 관련하여 물었기 때문에 도덕적 이탈은 답이 절대 될 수 없다.
4.자기규제 메커니즘이 그 하위요소인 내적 제재와 자기효능감이 어떻게 발현하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라는 것 자체가 이로 인해 도덕적 이탈이 발생하는 것이다라고 해석하는 것이 옳다.
+) 추가로 반두라의 자기효능감, 자기존중감, 자아존중감 이 세개를 같다 생각해도 될지 질문드립니다.
이렇게 정리를 해보았는데 확실하게 정리가 잘 되지 않습니다.
문해력에 살짝 문제가 있는 것 같습니다.
제가 정리한 것이 맞는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