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7~8월 강의질문]  질문입니다.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23년 10월 10일 22시 06분
조회수
178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네. 말씀하신 대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2. 인민은 개인들을 지시하는 개념이고, 시민은 정치공동체의 운영에 참여할 수 있는 권리를 지닌 자유민을 지시하는 개념입니다. 따라서 자연상태의 자연인은 인민이지만 시민은 아닙니다. 반면에 국가의 개인은 인민이자 시민입니다. 3. 말 그대로 국민이 곧 주권자인 국가라는 말입니다. ▒▒▒▒▒▒ [김고은 회원님의 글] ▒▒▒▒▒▒ 1. 홉스 질문입니다! 주권자가 어떤 행동을 하든지 백성 중 어느 누구에게도 권리 침해가 되지 않는 이유가 주권자의 권력과 권리는, 자연인들이 자신이 지닌 모든 힘과 권리를 한 사람 혹은 하나의 합의체에 전면적으로 상호양도하여 확립된 것이고, 타인으로부터 양도받은 권력과 권리를 행사하는 자는 어떤 행위를 하더라도 그것을 양도한 사람에게 권리 침해가 되지 않기 때문에 주권자가 어떤 행동을 하든지 백성 중 어느 누구에게도 권리침해가 되지 않음. 주권자가 백성들로부터 불의를 저질렀다는 비난을 받을 이유도 없는 이유가 모든 백성들은 자신이 지닌 모든 힘과 권력을 한 사람 혹은 하나의 합의체에 전면적으로 상호양도함으로써 그 하나의 인격 안에 결합하여 그가 공공의 평화와 안전을 위해 어떤 행위를 하든 그것을 자신의 행위로 승인하기로 상호계약을 맺었고, 그래서 그들은 그들의 주권자의 판단과 행위를 자기 자신의 것으로 삼아야 하는 의무를 지고 있기 때문. 이렇게 문풀 답안처럼 이해하고 있는데 맞을까요? 교재 76페이지 하단 원문에는 답안 순서가 다른 것 같아서(권리침해되지 않는 것과 비난 받을 이유 없는 것에 대한 답이 거꾸로) 제가 이해하고 있는 것이 맞는지 궁금합니다! 2. 그리고 로크 질문입니다! 시민과 인민 이라는 용어를 구분해서 써야할까요? 둘의 차이는 어떤건가요? 3. 루소 질문입니다. 최선의 국가의 성격에서, 주권자와 국민의 이해관계가 일치하는 국가 라고 하는데 주권자가 곧 국민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 말이 어떤 의미인지 모르겠습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