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5~6월 강의질문]  질문 드립니다.

작성자
이주연
등록일
2023년 10월 11일 17시 11분
조회수
145
첨부파일
안녕하세요! 공부하다 궁금한 것이 생겨 질문 남깁니다 :) 1.가치분석수업모형에서 증거카드를 작성하는 이유는 사실의 진위를 평가하기 위한 준거를 명확히 하기 위해서라고 생각했는데요, 단순형 증거카드에서 나의 가치판단을 쓰고, 가치판단의 전제가 되었던 사실을 쓴 것은 이해가 가는데 준거가 왜 가치판단과 사실로부터 삼단논법처럼 도출되고, 그것이 왜 사실의 진위를 평가하는 기준이 되는지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오히려 밑의 표의 사실의 지지 및 반대 증거가 사실의 진위 평가 준거처럼 느껴집니다..! 그리고 마지막 표의 준거를 믿는 이유와 믿지 않는 이유도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2. 나딩스 관련 119p의 대인관계적 추론과 358p의 상호주관적 추론은 같은 의미인지 궁금합니다. 3. 피터 싱어와 고전 공리주의자들은 모두 관련된 모든 사람의 이익의 증대를 주장한다고 하였는데, 피터 싱어의 공리주의가 소극적 공리주의인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싱어의 이익의 의미가 선호인 것과 관련이 있는 것인가요..? 관련된 모든 사람의 이익의 증대 주장, 소극적 공리주의, 선호 공리주의 이 세 가지가 잘 연결이 되지 않습니다.ㅠㅠ 4. 교재 456p 상단의 슈바이처 원문 중 “자신이 살기 위해서 다른 생명이 죽어야 한다는 이 모순적 상황에 대하여 줄곧 고민할 때, 그때야말로 비로소 참된 인간이며 도덕적 인간이 되는 것이다.” 라는 문장이 잘 이해되지 않습니다. 고민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나를 희생 or 도덕적 책임을 지는 경우에 도덕적인 인간으로 보는 것이 맞는 게 아닌가 싶습니다. 그리고 생명을 유지, 촉진하는 것뿐 아니라 불가피한 경우 도덕적인 책임을 지는 것도 도덕적인 행위가 맞나요? 5. 교재 459-460p 테일러 불침해의 의무 부분에서 이 의무는 우리가 주의하지 않음으로써 끼치게 될 어떤 피해까지 미리 예방해야 한다는 적극적인 의무를 의미하지는 않는다. 라고 나와있는데, 그렇다면 테일러의 불침해의 의무는 -의도적인 해악 안됨 -비의도적인 해악 안됨 -의도적인 해악에 대한 예방의 의무 있음. -비의도적인 해악에 대한 예방의 의무는 적극적 의무를 의미하고, 이러한 의무는 없음. 라고 이해했는데 저의 이해가 맞는지 궁금합니다.. 6. 요나스는 윤리의 대상을 인간 뿐 아니라 생태계 전체로 확장되어야 한다고 보고 미래 윤리로써의 책임 윤리를 제시하였는데, 왜 책임 윤리의 제 1원칙이 인간의 삶의 지속과 조화되도록 행위하라 라며 인간에만 초점을 둔 것인지 궁금합니다.. 이 것은 요나스의 의견이니 그냥 외워야하는 부분일까요..? 7. 교재 471p 심층생태주의 부분에서 ‘이처럼 인간을 전체 자연의 한 부분으로 파악함으로써 심층생태주의는 (객관적인 것과 주관적인 것, 실재하는 것과 지각되는 것, 사실과 가치 사이의 엄격한 구분이라는 근대적 세계관)을 극복하고자 한다.‘ 의 괄호 안의 내용이 어떤 의미인지 잘 이해되지 않습니다.. 항상 질문에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