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0월 강의질문] 모의고사 2회, 전공 A 6번 문항, 전공 B 4 번 문항 질문입니다.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23년 10월 17일 21시 15분
- 조회수
- 130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1. 네.
2-1. 네. 상관 없습니다,
2-2. 어떤 개념의 정의를 서술할 때 최선은 학자가 정의한 바대로 서술하는 것입니다. 참고로 '이익의 극대화, 고통의 최소화'는 공리의 원리의 본질을 완전히 표현하는 정의라 할 수 없습니다.
▒▒▒▒▒▒ [고대호 회원님의 글] ▒▒▒▒▒▒
1. 전공 A 6번 문항 질문입니다.
해당 문항의 빈칸 정답이 '참여'라고 되어있는데,
'정치참여'라고 기재해도 정답 인정될 수 있을까요?
2. 전공 B 4번 문항 질문입니다.
교수님께서 공리주의의 원리를
'이해 당사자의 행복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것처럼
보이는 경향성에 따라 각각의 행위를 승인하거나 불승인하는 원리'
라고 하셨고, 이를 암기하라고 하셔셔 이를 암기하였습니다.
답안에 이를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이라고 기재하면 안된다는 것도 양지하고 있습니다.
궁금한 점이 두 가지 있습니다.
2-1. 밀과 같은 다른 공리주의 학자의
공리주의 원리를 묻는 문제에서도
위 원리(이해 당사자의ㅡ)를 기재해도 상관 없을까요?
보편적으로 이 원리를 답안지에 기재해도 되는 지 궁금합니다.
2-2. 공리주의에서 '공리'가 공공의 이익이 아닌 유용성을 의미한다는 측면에서
저는 공리주의의 원리를 '이익의 극대화, 고통의 최소화'라고 암기했었습니다.
'촤대다수의 최대행복'의 사례처럼
이 또한 고전 공리주의에 대한 좋지 않은 암기법 혹은 좋지 않은 이해인지 궁금합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