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강의질문] 질문 드립니다.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23년 10월 25일 21시 14분
- 조회수
- 303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성리학에서 사용되는 ‘사욕’, ‘물욕’, ‘정욕’, ‘인욕’ 개념은 모두 사악한 욕구를 지시하는 개념입니다. 인심을 정의할 때 사용된 ‘사사로운 욕구’는 단순히 개인적인 감각적 욕구로 지칭하는 것으로 해석하시면 되겠습니다.
▒▒▒▒▒▒ [이주연 회원님의 글] ▒▒▒▒▒▒
안녕하세요! 주희, 왕수인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형기에서 기인하는 사사로운 욕구를 대상으로 한 지각 작용을 통해 나타난 마음이 인심인데,
인심은 자연적 생존에 반드시 필요한 욕구와 관련되어 있다 하여, 사사로운 욕구는 그 자체로 나쁜 것이 아니라고 생각했습니다.
또한 사사로운 욕구만을 계속 따르게 될 경우에 즉 인심을 방치할 경우에 인욕으로 흐르게 된다고 하여
사사로운 욕구는 그 자체로 나쁘지 않은 것, 인욕은 그 자체로 나쁜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교재의 ‘공부란 기질을 바로 잡아 사욕을 제거하여 이가 완전히 발현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에 다름 아니다. 주희 공부론의 대원칙인 존천리거인욕이 의미하는 바가 바로 이것이다.’ 라는 표현에서는 사욕이 제거해야 할 대상으로 나와서 사사로운 욕구와 사욕을 다르게 생각해야 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손 불편하실텐데 답변 감사드립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