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월 강의질문] 질문드립니다.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23년 10월 25일 21시 45분
- 조회수
- 272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토크빌
1. 네, 민주공화국입니다.
2. 네. 토크빌의 애국심 개념은 공화주의의 애국심에 범주에 포함됩니다.
밀
3. 네.
4. 네. 밀은 이상적인 형태의 대의정부는 전체 인민의 정부라고 봅니다.
슘페터
5. 네.
하버마스
6. 정당성 요구란 주장이 도덕적 규범의 관점에서 볼 때 정당성이 의심스러울 때 제기되는 요구입니다.
7. 생활세계는 사회구성원들의 자율적인 의사소통 행위들로 구성된 하나의 연결망입니다. 따라서 의사소통 행위가 합리화 되면, 생활세계 또한 합리화됩니다. 생활세계의 합리화 과정에서 서양 사회의 근대화가 이루어졌고, 근대화 과정의 산물로서 생활세계와 체계의 이원화가 생겨나게 되었다는 것이 하버마스의 주장입니다.
8. 규범적 합리성이란 궁극적이고 보편적인 도덕적 가치와 관련되어 드러난 가치관련적 합리성입니다.
포퍼
9. 네.
▒▒▒▒▒▒ [한동현 회원님의 글] ▒▒▒▒▒▒
안녕하세요.
토크빌
1. 교재 158페이지 원문을 보면 "그러나 미국 체제가 기초하고 있는 원칙, 다시 말해 질서, 세력균형, 진정한 자유, 권리에 대한 존중의 원칙은 모든 공화국들에 꼭 필요한 요소들이다." 라고 나와있는데요. 교재 서술에는 위의 네가지 요소들이 이상적 민주주의의 성격이라고 나와있는데, 그렇다면 원문에 나와있는 공화국은 민주공화국을 의미하는 것인가요?
2. 토크빌이 시민정신의 소유를 주장하면서 말했던 '애국심'은 공화주의적 애국심인가요?
밀
3.
168페이지 교재 서술 : 이러한 관점에서 밀은 단지 타인에게 해악을 끼치지 않는 소극적인 행위뿐만 아니라, 자신의 동료인 사회 구성원의 이익을 적극적으로 보호하고 증대시키는 행위를 개인이 마땅히 이행해야 할 도덕적 의무로 간주한다.
168페이지 원문 : 사회가 개인에게 요구할 수 있는 행위들 중 첫번째 것, 두번째 것에 대한 설명이 나와있는데요.
첫 번째 것은 서로 간의 이익을 손상시키지 않는 행위인데, 이것은 타인에게 해악을 끼치지 않는 소극적 행위를 말하는 건가요?
두 번째 것은 사회나 그 구성원들을 위협이나 방해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필요한 노동과 희생을 각 개인이 자신의 몫만큼 부담하는 행위인데, 이것은 사회 구성원의 이익을 적극적으로 보호하고 증대시키는 행위로서, 도덕적 의무를 말하는 건가요?
4.
밀이 대의정부가 이상적 정부라고 할 때, 밀이 말하는 대의정부라는 것은 우리가 흔히 말하는 대의민주주의에서의 대의정부(다수파 정부와 다른 의미를 가지는 것이 맞나요?
슘페터
5. 자본주의가 붕괴하면 사회주의가 도래한다고 강의에서 설명해주셨는데요. 성숙한 사회주의화와 미성숙한 사회주의화 모두 자본주의가 붕괴해서 사회주의로 이행을 하는데, 그 이행방식에 있어서의 차이인가요?
하버마스
6. 보편적인 타당성 요구에서
주장의 규범적 정당성이 의심스러울 때 제기되는 요구- 여기서 규범적 정당성이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지 모르겠습니다.
7. 의사소통 행위의 합리화가 합리화된 생활세계를 가능하게 한다고 하는데요. 의사소통행위의 합리화와 생활세계의 합리화가 어떠한 관련이 있어서 의사소통 행위의 합리화 과정이 합리화된 생활세계를 가능하게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의사소통 행위의 합리화는 대화자 상호 간에 문제가 된 타당성 요구가 다만 가상적으로 검증되고 있는 구조적으로 왜곡된 의사소통의 상황을 극복하는 것인데, 이 극복이 생활세계와 체계의 이분화를 가능하게 하는 것인가요? 유기적으로 이해가 되지 않는 것 같습니다..
8.담론 윤리에서 담론이란 의사소통 행위가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규범적 합리성을 실현하기 위해 언어적 상호작용 속에서 규범적 논증을 실행하는 대화를 가리키는 용어이다.
여기서 규범적 합리성이 정확히 무엇인가요?
포퍼
9. 포퍼는 객관적이고 절대적인 진리가 있다고 보나요?
감사합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