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1~2월 강의질문]  질문드립니다.

작성자
한동현
등록일
2023년 11월 07일 21시 48분
조회수
200
첨부파일
안녕하세요. 칸트 1. 행복 : 도덕적으로 규정된 도덕적 의지가 그 도덕성에 입각하여 바라고 지향하는 대상 여기서 도덕적 의지는 선의지, 즉 자유의지를 말하는 것이 맞나요? 2. 덕 : 준칙 채택에 있어서의 강인함 여기서 준칙 채택이 의미하는 바가 구체적으로 무엇인가요? 덕이라는 것은 불완전한 의무를 준수할 수 있도록 해주는 내적인 힘이라고 여기 답변 게시판에서 보았는데요. 준직 채택이라는 말이 의무 준수를 말하는 건 아닌것 같아서요.. 3. 덕복일치설에 대한 칸트의 비판과 덕과 복의 종합에서 덕은 예지계에 속하는 자유의 원리에 근거해 확립되는 개념이고, 행복은 현상계의 필연적 인과법칙의 원리에 근거해 확립되는 개념이어서 두 개념 사이에 논리적 동치 관계가 성립할 수 없다. 라는 문장에서 자유의 원리는 의지의 원리 즉, 도덕법칙을 의미하는 것인가요? 4.로스의 조건부 의무 도덕적 문제 상황에 개입하는 의무들은 전부 조건부의무라고 하셨습니다. 그리고 여러 조건부의무가 갈등할 때는 보다 중요한 의무가 실제적 의무가 되며, 그러한 의무의 선택은 직관에 의해서 이루어진다고 하셨습니다. 그리고 조건부 의무의 정의가 이보다 더 중요한 다른 의무가 없는 경우에 한에서 우리의 행위를 잠정적으로 구속하는 실제적 의무가 되는 의무인데요. 그렇다면 조건부의무들이 갈등할 경우, 예를 들어 A와 B라는 조건부 의무들이 갈등할 경우, A가 B보다 더 중요한 의무여서 A가 실제적 의무가 되었을 때, A를 조건부 의무이자 실제적 의무라고 부른다면, B는 뭐라고 부르는 것인가요? 도덕적 문제 상황에 개입하는 의무들은 전부 조건부의무라고 한다고 하셨는데, B보다 더 중요한 다른 의무(A)가 생겼으니 B를 계속 조건부 의무라고 부를 수 없는 것 아닌가요? 밀 5. 보충자료 27페이지 정의감은 사회 전체의 이익 혹은 행복과 관련된 감정이며, 정의의 욕구는 사회적 행복과 관련된 것이다. 라고 하는데, 정의의 의미는 개인들의 이익과 안전이 침해 받지 않을 권리가 존중되고, 그러한 존중의 의무가 이행되고 있는 것인데, 정의의 욕구는 왜 사회적 행복과 관련이 된 것인가요? 정의의 의미만 보면 사회적 행복이 아니라 개인의 행복과 관련이 있어보이는데, 공리주의에서 사회적 행복은 개인들의 행복의 총량이어서 그런가요? 아퀴나스 6. 행복 = 최고선 = 신 이라고 볼 수 있는건가요? 보충자료 7페이지에 신은 지복이라고 나와있어서 의문이 들어 질문드립니다. 최고선 = 신이고, 최고선인 신을 소유하고 있는 상태가 행복이기 때문에 행복 = 신이라고 말할 수 없는 것 아닌가요? 아우구스티누스 7.보충자료 4페이지의 사추덕과 관련된 원문에서, '정의는 오직 신만을 섬기며 이것 때문에 인간에게 복속된 다른 모든 것을 잘 다스리는 사랑이며,' 라는 문장이 있느데 여기서 이것이 가리키는 바는 신인가요? 흄 8. 보충자료 22페이지의 심화논증에서 심화논증 1에서 도덕판단은 관념들을 비교하고, 그것들 사이의 논리적 관계를 분석하여 그것의 참과 거짓을 분별할 수 있는 판단이 아니다. 라는 문장이 있는데, 이는 이성은 관념들을 비교하고 , 그것들 사이의 논리적 관계를 분석하여 그것의 참과 거짓을 분별한다는 말이 맞나요? 예시를 통해 보면 이성이 하는 일은 자식이 부모를 살해하는 것과 자식나무가 부모나무를 살해하는 것의 논리적 관계는 동일하니 '자식이 부모를 살해하는 것은 악이다.' 가 참이면 '자식나무가 부모나무를 살해하는 것은 악이다.'라는 것도 참이라고 분별하는 것이다 라는 의미인가요? 9. 심화논증 2에서 객관적 사실 안에는 선, 악이 없으므로(선, 악은 경험관찰되지 않으므로)/사실에 대한 경험적 지식을 근거로 하여 도덕판단을 이끌어낼 수 없다고 하는데, 위 문장에서의 인과관계가 어떻게 성립하게 되는 것인지 모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