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1~2월 강의질문]  화엄종, 원효, 의천 질문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23년 11월 08일 18시 30분
조회수
333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ㄴ다. 1. 생멸문의 체가 여래장이고, 용이 생멸입니다. 이처럼 여래장가 생멸을 포괄하고 있는 식을 아뢰야식이라 합니다. 그래서 진여문과 생멸문은 같지는 않지만 다르지도 않은 관계를 맺으면서 원융회통합니다. 2. 네. 3. 교관겸수와 내외겸전은 동일한 의미의 용어입니다. 성상겸학은 중관 사상 혹은 화엄사상과 유식사상을 함께 공부해야함을 일컫는 용어입니다. ▒▒▒▒▒▒ [손성곤 회원님의 글] ▒▒▒▒▒▒ 안녕하세요 교수님, 화엄종의 이사무애법계와 여래장, 원효와 일심에 대해 질문드리고자 합니다. 1. 법장은 이사무애법계를 해명하면서 여래장 사상에 의하면 불생불멸 진여와 현상세계를 산출하는 생멸심으로서의 아뢰야식은 서로 다른 것이 아니라고 하는데요, 그 이유가 아뢰야식이 불생불멸과 생멸을 모두 포괄하는 마음이기 때문인가요? 달리 말해 여래장과 일심을 구분하지 않는 법장의 관점에서, 생멸심으로서의 아뢰야식 속에 여래장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심진여문과 심생멸문은 서로 다른 것이 아니고, 그래서 이법계와 사법계가 원융무애할 수 있는 것인가요? 2. 대승기신론에 의하면 생멸문을 가능하게 하는 근거가 "여래장", 달리 말해 생멸문에서 산출되는 생멸상들은 모두 여래장에서 발생하는 것이라고 하는데, 그 이유가 여래장이 심생멸문의 체, 생멸이 심생멸문의 용으로 체용관계이기 때문인가요? 3. 의천의 교관겸수, 내외겸전, 성상겸학은 사실상 같은 주장으로 보이는데, 이 세 주장 간의 차별적인 특징점이 있나요?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