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1~2월 강의질문]  2023 강의 질문

작성자
이승원
등록일
2023년 12월 01일 11시 50분
조회수
245
첨부파일
[칸트] 1. 행복의 원리는 타율적 실천 원리 : 행복의 원리에 입각한 행위는 자연적 경향성을 따르는 행위로서, 그러한 행위를 산출하는 과정에 인간의 도덕적 자율성(이성)이 개입할 여지는 없다로 보아도 맞을까요? 2. 선의지 만이 무조건 적인 선 : 선의지란 다른 것들을 선한 것으로 만드는 그 자체로 선한 것, 즉 그 밖의 모든 가치의 조건이 되는 선. > 왜 조건일까요? 보통 절대적인 것이라면 목적이 들어가는 경우가 많아서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3. 학습 포인트 25번 : 도덕 법칙, 정언 명령 가능 근거 - 이성의 형식(보편성, 필연성) 외에 무엇을 더 쓰면 좋을지 잘 떠오르지 않습니다. 4. 학습 포인트 31번 답변을 생각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5. 교과서192페이지에 / 실천법칙의 성격에 대해 ‘ 모든 이성적 존자자에게서 그러하듯이 우리의 이지가 이성에 의해 전적으로 지배되기는 하지만, 우리의 성향들은 그렇지 않은경우 ….> 이런경우가 어떤 경우일지 구체적으로 알 수 있을까요? [시즈윅] 형식적 원리로서 세가지 직관적으로 자명한 원리가 포함한 내용적 원리는 보편적 행복이라는데, 2번째 원리인사려 타산의 원리는 개인의 행복과 관련된 내용입니다. 왜 2번째 원리가 보편적 행복이라는 내용적 원리를 포함하고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무어] 가치실재론에 반대되는 정서주의가 정확히 어떤 것인가요? - 학습포인트9번 / 무어가 자연주의와 정서주의에 반대한 이유를 선의 성격에 대한 그의 관점에 근거하여 서술하시오 와 함께 알려주시면 감사하겟습니다. [밀] 정의 정의감 내용에 있어 통상적인 정의감과 공리주의의 결과주의적 성격이 부합하지 않는다라는 말의 뜻과, 이에 대한 반박 과정이 잘 이해가지 않습니다. 통상적인 정의감 : 결과와 상관없이 드는 감정 그러나 공리주의의 결과주의에서 정의감은 공공의 이익을 침해하는 사람들에 대한 보복과 처벌의 감정으로서 결국 또 결과를 상관하며 정의감이 생긴다는 것이 공리주의자들의 해명인 것 같은데.. 설명 부탁드립니다. [셸러] 셸러의 규범적 당위가무엇인지 잘 이해가가지않습니다 의지의 방향과 이념적 당위가 배치되는 상황은 어떤 상황일까요? [사르트르] 사르트르의 본래적 실존은 무엇인가요?(학습포인트 질문) [인지주의] 오류주의가 왜 인지주의에 속하는지 잘 이해되지 않습니다. 모든 도덕적 진술은 그것이 지시하는 객관적 사실이 없기에.. 무조건 틀린 것이라는 말 같은데 그것이 지시하는 객관적 사실이 없다는 말의 예시를 들어주실 수 있을까요? [공자] 악이 화와 같은 것으로 봐도 무방한가요? 또한 균과 화는 인륜 교육을 통해 가능하다 > 여기서 말하는 균은 무엇인가요? [맹자] 394p. 순임금이 여러 사물에 밝고 인륜을 잘 살피신 것은 인의에 따라 행위한것이지 인위를 실행한것이 아니다. 이 문장의 뜻이 이해가 잘 가지 않습니다. 순임금은 그러면 군자라고 볼수 없는 건가요? [주희] 태극=도=이(리)=무극=도의=성명 모두 같은것이 맞나요? [정약용] 용을 성명해주시며 주희는 용을 평상을 해석했다고 설명해주셨는데요, 평상의 덕 강조 -평상의 도리 이치 평상시 수양을 통해 마음이 사욕에 매몰되지 않으면 마음은 탁월한 지각능력을 발휘하여 마음의 체인 성을 보존하고 이발 때 성 따라 정 드러낼 수 있음. > 이것을 평상의 덕으로 봐도 될까요? 뒤늦게 2023년도 강의를 들으며 질문드립니다. ㅠㅠ 도와주세요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