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강의질문] 아퀴나스 '양심' 과 스토아 질문 드립니다.
- 작성자
- 이승진
- 등록일
- 2024년 01월 17일 15시 29분
- 조회수
- 126
- 첨부파일
-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① 에링턴 243p에서 "아퀴나스는 제 일 원리로 부터 구체적인 도덕적 명령들을 이끌어 내는 것을 양심의 발휘라고 표현한다."라고 되어 있는데, 이 말은 자연법의 제 1원리인 "선을 추구하고 악을 피하라"에서 다른 자연법의 자연법의 일반 명령(ex) 종은 번식되어야 하고, 자녀는 양육되어야 한다.)을 도출하며, 이 자연법의 일반 명령은 양심을 발휘하여 도출하는 것이다.라고 이해하면 될까요?
이 부분이 강의에서 말씀하셨던 양심의 개념인 도덕적 직관을 통해 파악한 도덕적 진리를 구체적인 상황에 적용하는 실천적 추론력과 같은 것인지 아니면 다른것 인지 궁금하여 질문드립니다.
② 그리고 교과서(미래엔 윤사 120p)에서는 기본 정념으로 슬픔, 공포, 욕망, 쾌감을 들고 있는데 우리 교재에 나와있는 기본 정념인 쾌감, 고통, 욕망, 두려움과의 차이는 번역의 차이인가요
③ 인류애가 자식에 대한 부모의 사랑과 달리 이치에 맞는 정서에 속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둘 모두다 유대감 또는 소속감(oikeiosis)을 기르는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는 비슷해 보여서 그 이유가 궁금합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