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강의질문] 아리스토텔레스 질문
- 작성자
- 강나영
- 등록일
- 2024년 01월 21일 15시 34분
- 조회수
- 116
- 첨부파일
-
1. '탁월하게 일어난 행위'와 '탁월성에 따라 일어난 행위'의 구분
단순히 탁월하게 일어난 행위를 한다고 해서 그 사람이 품성의 탁월성을 지니고 있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그런데 품성의 탁월성은 습관의 결과물입니다. 그렇다면 처음엔 그저 '탁월하게 일어난 행위'도 계속해서 반복해 습관화한다면, 끝내 품성적 탁월성으로 이어질 수 있을까요? 혹은 '탁월하게 일어난 행위'의 반복은 숙고가 동반되지 않는 단순 행위 반복에 불과하기에 품성적 탁월성으로 나아갈 수 없는 것일까요?
2. 실천적 지혜의 행위 산출 능력
실천적 지혜는 인간에게 참으로 좋은 것과 나쁜 것이 무엇인지 숙고해 "행위를 산출하는 이성"을 동반한 참된 실천적 품성상태입니다. 그리고 '실천적 지혜와 품성적 탁월성의 통일 부분'에서, 실천적 지혜는 좋은 목표에만 관계한다고 학습하였습니다. 그렇다면 실천적 지혜는 좋은 목표에 관계하며, 행위 역시 산출할 수 있는 것인데, 이는 지덕일치설을 비판하는 논리와 상충된다고 느껴집니다. 지덕일치설 비판에선 품성적 탁월성은 최선의 수단을 선택하는 이성과 좋은 목적을 지향하는 욕구가 결합해야한다고 주장합니다. 그러나 위의 정의들을 합쳐보면 오직 실천적 지혜만으로도 품성적 탁월성 형성이 가능해보입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