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1~2월 강의질문]  흄 질문드립니다.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24년 02월 05일 20시 38분
조회수
148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관념이 완전히 배제되는 이유는 덕과 부덕을 구별하고 어떤 행동을 칭찬할 만하다거나 비난받을 만하다고 판정하는 기준은 시인과 부인의 감정이고, 그것은 인상에 속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인상은 관념의 근원입니다. 따라서 인상과 관념은 관련되어 있으나 인상은 관념이 아니고, 관념은 인상이 아닙니다. 예를 들어 부모가 자신의 근원이지만, 부모와 자식이 같은 존재가 아닌 것과 같습니다. ▒▒▒▒▒▒ [조은진 회원님의 글] ▒▒▒▒▒▒ 항상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우리가 덕과 부덕을 구별하고 어떤 행동을 칭찬할 만하다거나 비난받을 만하다고 판정할 때, 이 근거는 인상인가 아니면 관념인가?"의 물음에 대해 질문드리고 싶은데요. 이에 대한 답은 결국 인상이라는 것인데, 이때 관념이 완전히 배제되는 이유를 명확히 알고 싶습니다. 이성의 두 기능은 분석적 지식을 산출하는 것(즉 복합관념으로 이루어진 명제-분석명제?-에서 관념들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여 참과 거짓을 분별), 그리고 종합적 지식을 산출하는 것(종합명제에 대해 경험적 지식을 바탕으로 참과 거짓을 분별)으로 이해했습니다. (혹시 여기까지 잘못된 부분이 있을까요?) 그런데 흄의 주장은 도덕 판단이 이성의 기능으로 나타날 수 없는 것이기 때문에 관념이 아닌 인상이며, 감정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것인데, 감정이 관념을 대상으로 작용할 수는 없는 건가요? 마치 관념은 이성의 영역이고, 인상은 감정의 영역으로 구분된 것처럼 보여서요. 앞선 질문에 대한 답변에서 "흄이 말하는 인상이란 외적 지각인 감각과 내적 지각인 반성에 의해 우리 의식에 직접적으로 주어지는 표상이고, 관념은 인상이 사라진 뒤 기억 또는 상상에 의해 우리 정신에 남아 있는 표상입니다. 이처럼 관념은 인상의 복사물로서, 인상은 관념에 선행합니다."라고 답해주셨습니다. 이에 따르면 관념과 인상이 이분법적으로 완전히 구분될 수 없는 것이 아닌가요? 감사합니다.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