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1~2월 강의질문]  플라톤 질문드립니다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24년 02월 14일 17시 38분
조회수
257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플라톤은 영혼의 기능을 보다 구체적으로 해명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소크라테스의 지덕일치설를 발전적으로 계승한 사상가이지 소크라테스의 지덕일치설을 거부한 사상가가 아닙니다. 4주덕 중 지혜를 다른 모든 덕의 존재 근거로 보는 플라톤의 입장, 4주덕의 형성과 관련하여 이성의 지배를 강조한 플라톤의 입장은 그가 소크라테스의 지덕일치설을 계승하여 발전시켰음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입장이라 하겠습니다. 따라서 ‘소크라테스의 지덕일치설에 대한 거부’라는 관점을 가지고 플라톤의 덕론에 접근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플라톤이 소크라테스의 덕론을 어떻게 보완 발전시켜는가?’라는 물음에 대한 답을 찾고자 노력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김수연 회원님의 글] ▒▒▒▒▒▒ 안녕하세요 교수님. 플라톤 덕복일치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플라톤은 행복이 최선의 상태로서 이성적인 부분이 기개와 욕구를 지혜롭게 인도하여 기능을 훌륭하게 발휘하는 상태로 보았다는 점에서 덕있는 상태와 동일하게 여겼다는 점은 이해가 됩니다. 그런데 강의 교재에는 없지만 플라톤이 지덕일치(지덕복일치)는 거부한다는 내용을 본 것 같은데, 왜 플라톤은 지식(지혜)가 모든 덕들과 같다고 여기지 않았는지 궁금합니다.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