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1~2월 강의질문]  주자의 이와 기, 성과 정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24년 03월 06일 09시 57분
조회수
145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성리학은 마음을 장부(臟腑), 특히 심장과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서, 우리 내면에서 미묘한 작용을 일으키는 기관으로 봅니다. 이 기관은 이치를 담고 작용하는 것이므로, 마음은 이와 기로 구성되어 있다고 하는 것입니다. 참고로 마음의 기는 좋아하고 싫어하는 마음의 성향 혹은 성품을 결정하는 것으로서, 그것은 사람들이 지닌 마음의 성향 차이를 발생시키는 근원입니다. 성과 정의 관계만을 고려하여 말하면, 정은 성이 발한 것입니다. 마음의 측면에서 말하면 정은 마음이 성을 운용하여 드러낸 것입니다. 즉, 정은 마음이 작용의 산물입니다. ▒▒▒▒▒▒ [한수정 회원님의 글] ▒▒▒▒▒▒ 안녕하세요, 교수님. 항상 유의미하고 유익한 수업을 해주심에 감사드립니다 :) 다름이 아니라, 주희 부분 강의를 듣던 중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 드립니다. 동양윤리 7-1강 중에서, '성과 정의 관계'에서 마음 안에 정과 성이 있다는 그림을 그리셨는데요, 그 다음에 '마음과 이기의 관계'에서 마음 안에 정과 성, 이가 있다고 그림을 그리셨습니다. 여기서 그러면, '기'는 어디에 존재하는 것일까요? 7-2강에서 다시 그림을 그려주실 때 기를 마음의 테두리 쪽으로 화살표를 이으셨는데 이 부분이 잘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ㅠㅠ 마음에서 '기'가 존재하는 부분이 어디라고 봐야할까요? 마음이 '성 혹은 이를 갖추고 만사만물에 응하는 개인의 주재자'이고, '정'은 '성이 발하여 나타난 것'이고, '기'는 '성의 의착처'라면 '기'와 '정'의 관계는 어떻게 봐야할까요? 답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