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강의질문] 아리스토텔레스 질문드립니다.
- 작성자
- 이승진
- 등록일
- 2024년 03월 08일 09시 48분
- 조회수
- 134
- 첨부파일
-
"영혼의 상태(hexis) 중에서 칭찬받을 만한 것을 우리는 탁월성이라고 부른다."[니코마코스 49~50p]
" 따라서 탁월성이 감정도 아니고 능력도 아니라면, 탁월성은 품성상태라는 것이 남게된다. 이렇게 해서 탁월성이 그 유(genos)에 있어서 무엇인지 이야기 되었다.[61~62p]
''' 이 두 부분 가운데 전자를 '학문적 인식의 부분' 후자를 '이성적으로 헤아리는 부분'으로 부르자. 숙고한다는 것이나 이성적으로 헤아린다는 것은 같은 것이며, 누구도 '달리 있을 수 없는 것'에 대해 숙고하지는 않으니까. 그렇다면 '이성적으로 헤아리는 부분'은 (영혼 중) 이성을 가지고 있는 것의 한 부분이다. 따라서 이 두 부분 각각에 있어 최선의 품성상태가 무엇인지 파악해야만 한다. 이 최선의 품성상태가 각 부분의 탁월성이며, 탁월성은 다시 각 부분의 고유한 기능과 관련되는 것이니까[205p]
지적탁월성의 유 개념 역시 '품성상태'이고, 탁월성이 감정도 아니고 능력도 아닌데, 실천적 지혜의 '유'가 왜 영리함인지 모르겠어서 질문드립니다. ①영리함은 '능력'인데, 어떻게 실천적 지혜의 유가 될 수 있는것인지, ②실천적 지혜의 유가 품성상태이자 영리함인 것인지 궁금하여 질문드립니다. 아니면 영리함이 품성상태에 포함되는 것인가요?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