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1~2월 강의질문]  정약용

작성자
고하늘
등록일
2024년 03월 27일 13시 54분
조회수
287
첨부파일
안녕하세요, 교수님 ! 늘 수업 잘 듣고 있습니다. 내용 중 궁금한 것이 생겨 질문 남깁니다 ! 1. 정약용에게 있어 인은 타인에 대한 사랑으로 나와 타인 사이의 인륜 관계와 관련된 후천적 덕이다. 그런데 정약용은 단시설을 주장한다. 사단을 실천하면 사덕이 형성된다고 보는데 '타인에 대한 사랑'은 감정 아닌가? 사단은 본성에서 비롯되는 4가지의 마음인데 '타인에 대한 사랑'이라는 설명만 보면 마음이라고 해석이 돼서 인이 후천적 덕인 사덕이 아니라 사단이라고 해석이 돼 의문이 생긴다. 2. 주자를 계승한 이황은 존재 근원은 이와 기, 2개라는 이기이원론을 주장한다. 그러나 기질지성을 기질 중 본연지성으로서 기질의 품질로 인해 가선가악하다고 본다. 기질지성 안에 곧 본연지성이 있는 것인데 그렇다면 이것은 이와 기가 2개가 아니라 하나인 것으로 존재 근원을 하나로 봐야하는 것 아닌가? 3. 장자의 제물론에서 도추와 양행의 차이를 구분하지 못 하겠다. 도추는 차별 없는 도의 관점에서 분별을 타파하는 것으로 회전문의 예시가 있으며 한 쪽에 서지 말라는 것인데 양행 또한 시비의 어느 한 편에 서지 않는 것을 말한다. 둘의 차이를 어떻게 구분해야 하는가? 4. 이황의 인심도심설에서 인심과 도심은 상대되는 것으로 어떤 마음이 인심이면 그것은 도심이 아니라고 설명해주셨다. 그러나 교재 440p 원문을 보면 '도심은 인심 사이에 섞여서 나오는 것이니 실로 서로 바탕이 되고 서로 발하는 것이어서 판연히 이물이 된다고 할 수 없다.'고 한다. 그렇다면 인심과 도심은 상대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해석돼 이해가 어렵다. 그리고 보충자료 마지막, 학습 point에 서술형 출제 예상 문제들을 넣어주시는데 문제에 대한 답안은 없는지 궁금합니다.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