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3~4월 강의질문]  정치 질문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24년 04월 02일 21시 12분
조회수
190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제조건의 평등, 즉 정치, 사회, 경제 등 모든 사회 생활의 관계에 있어서의 평등화는 다른 형태의 사회에서는 볼 수 없는 민주 사회만이 지닌 실제적인 모습입니다. 위계적인 계급의 부재나 평등한 정치적 및 시민적 권리의 보장 등과 같은 민주 사회가 지닌 여러 특징들은 평등화의 결과물들입니다. 그래서 제조건의 평등을 민주 사회의 모든 개별적 사실들(실제적인 상태, 모습, 현상)을 발생시키는 근본적인 사실이라 하는 것입니다. 2. 사회주의와 관련한 구체적인 내용은 우리 시험과 관련하여 중요한 내용이 아닙니다. 패스하셔도 무방합니다. 3. 헌법의 주요 항목을 수정한다든가 혹은 시민의 권리의 목록을 변경하는 것과 같은 전체 시민의 삶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결정이 유권자나 정치엘리트들의 단견에 의해 이루어지는 경우를 말합니다. ▒▒▒▒▒▒ [이승원 회원님의 글] ▒▒▒▒▒▒ 1.토크빌 제조건의 평등: 민주 사회의 모든 개별적 사실들을 발생시키는 근본적인 사실에서 왜 사실로 표현을 했는지 궁금하며, 구체적인 예시 사례가 있다면 알고 싶습니다. 2. 슘페터 사회주의 비판에 대한 반론 1) 사회주의 경제가 논리적으로 상정된다는 것은 어떻게 상정된다는 뜻인가요? 2) 효율성 중 불확실성이 배제 된다는 것의 뜻이 궁금합니다. 또한, 과잉 생산력을 경제 후생적으로 이용하는 살까 있을까요 3) 사회주의 체제에서 화폐가 아닌 다른 형태의 인센티브는 무엇을 의미하나요/? 3. 슘페터 민주주의의 성공족ㄴ 두번째, 중요한 결정이 유권자나 정치인의 단기적인 관심에 의해 좌우되는 경우는 어떠한 경우가 있을까요?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