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강의질문] 주자 질문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24년 04월 02일 21시 25분
- 조회수
- 295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성발위정’은 마음의 작용의 개입을 배제한 관점에서 성과 정의 관계만을 설명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심통성정이라는 마음의 실제적인 측면에서 보면 ‘성발’은 성이 직접 발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마음이 성을 운용하여 드러냄을 의미합니다. 또한 그것은 성이 정의 근본이 됨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2. 주희는 희노애구애오욕의 칠정을 인간의 체험하는 모든 감정을 지시하는 것으로 봅니다. 강의 시간에 사단과 칠정의 관계 및 선정과 악정의 근원에 대한 주희의 입장이 모호하다고 말씀 드렸든 점을 상기하시기 바랍니다.
▒▒▒▒▒▒ [이현수 회원님의 글] ▒▒▒▒▒▒
안녕하세요, 주자와 관련해서 질문 드립니다.
1. 주자는 '이기동정 문제'에 대해 기가 동정하며, 이는 기의 운동을 통해서만 발현될 수 있다고 하였습니다. 그런데, '성과 정'에 대해서 교수님께서 설명하실 때, '성'이 본연지성이라고 하시며, 이것이 발하여 정이 된다고 하셨습니다. 이 두 설명이 상충하는 것 같은데 어떻게 이해하면 좋을까요?
2. '성과 정'에 대해서 설명할 때, 사덕이 발하여 사단이 된다고 설명해 주셨습니다. 그런데, '미발이발과 중화'에 대해 설명하실 때, '희로애락'이 등장하는데, 이 감정은 칠정의 일부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주자가 칠정이라는 감정에 대해서는 어떻게 이해하였는지 궁금합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