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월 강의질문] 교수님 질문이 있습니다!ㅎㅎ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24년 04월 09일 18시 18분
- 조회수
- 190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1. 자신을 지키기 위해 타인을 적대시하고 제거하고자 하는 동기는 자연상태가 아니라 사회에서 생겨나는 것인데, 홉스는 이를 자연인의 동기 체계에 속하는 것으로 오인하였음을 지적하는 내용입니다.
2. 인민이 통치권을 행사할 수 없는 군주정에서 1인 군주가 자신이 내린 판단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높은 수준의 행정 능력을 갖춘 계급의 도움이 필수적으로 요청되는데, 몽테스키외에 따르면 높은 수준의 행정 능력을 지닌 유일한 사회적 계급은 귀족입니다. 이처럼 군주정에서 귀족은 주권자인 군주의 판단을 국가에 적용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계급으로 규정됩니다.
▒▒▒▒▒▒ [홍윤지 회원님의 글] ▒▒▒▒▒▒
안녕하세요. 질문이 있습니다.
1. 정치사회사상 교재 134p 각주 설명 중 "홉스는 서로가 싸우고 서로가 지킬 동기를 사람으로 하여금 발전케 만드는 것을 사회가 성립되기 이전의 사람에게 부여하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 이 문맥의 의미를 파악하지 못하였습니다. 어떤 뜻인가요?
2. 몽테스기외의 군주정은 입헌주의적 정체이며, 군주와 인민 사이에 귀족계급과 같은 중간 세력을 지속적으로 필요로 하는 정체라고 설명이 되어 있는데, 왜 군주와 인민 사이에 귀족계급과 같은 중간 세력을 지속적으로 필요로 하는 정체인지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왜 중간 세력이 필요하나요?
감사합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