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3~4월 강의질문]  플라톤, 사회계약론 질문드립니다.

작성자
이보은
등록일
2024년 04월 11일 18시 15분
조회수
170
첨부파일
1. 플라톤은 국가를 국가 구성원들 사이의 서비스의 상호 교환 체계로 보았는데, 그렇다면 교재 p.15 원문 중 ‘세 부류인 이들 사이의 참견이나 상호 교환은 최대의 해악’이라는 구절에서 상호 교환은 수호자, 보조자, 생산자끼리의 역할 상호 교환을 뜻하는 것이 맞나요? 2. 학습포인트 질문입니다. 플라톤 입장에서 통치자가 소유한 정치적 권위의 성격은 무엇인가요? 3. 루소의 일반의지에 대한 헷갈림이 생겨 앞서 다른 수강생분들에게 답변해주신 내용을 보니, <‘전체의지는 그러한 개별적 의지의 총화’는 특수의지를 포함하고 있는 그러한 개별적 의지의 총화라는 말입니다.>라는 말씀이 있었는데요. 즉, <전체의지 = 개별의지(특수의지+일반의지)의 총화>인 것인가요? 그렇다면 교재에서 ‘일반의지는 개인들의 특수의지의 총합인 만인의 전체의지가 아니다.' 라는 말은 만인의 전체의지가 개인들의 특수의지의 총합이라는 말인데, 이는 개개인이 가진 전체의지 중 특수의지만을 더한 것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사익을 추구하는 특수의지까지 합해진 개별의지의 총화를 뜻하는 것이고, 일반의지는 공공선을 지향하는 의지이니 오직 이 부분만 해당된다는 얘기일까요? 4. 홉스는 자연상태에서 자연인이 지닌 자연권으로부터 자연법이 채택된 것이고, 로크는 자연상태 내내 자연법이 있었다고 하였으니 이로부터 자연권이 도출되는 것인가요? 각 사상가의 자연권과 자연법의 관계가 헷갈려 질문드립니다. 5. 교재 p.73에 수록된 홉스 원문 중 ‘하나의 인격을 이루는 것은 대표자의 단일성이지, 대표되는 자의 단일성은 아니기 때문이다.’라는 구절이 있는데 대표되는 자가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가요? 6. 루소는 아직 사회계약은 맺지 않았지만 자연상태에서 사회상태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소유권이 확립된다고 보았나요, 아니면 사회계약 이후 소유권이 발생한다고 보는 것이 맞나요? 7. 루소는 사회계약을 통해 각 개인이 자신의 힘과 권리를 전체 공동체에 양도한다고 하였는데, 이를 모든 것에 대한 소유권을 포기한다거나 자연권을 포기했다고 이해해서는 안 되는 것이 맞나요? 안되는 것이라면 그 이유를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한꺼번에 질문 하다보니 개수가 많아졌습니다. 항상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