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월 강의질문] 정치 질문
- 작성자
- 이승원
- 등록일
- 2024년 04월 18일 11시 42분
- 조회수
- 145
- 첨부파일
-
대표성 호응성 책무성 문제가 각각 구체적으로 어떤 것을 의미하는 지 궁금합니다.
롤스
1. 제2우선성 규칙에 대한 설명
정의의 제2원칙은 효율성의 원칙이나 이득이 총량의 극대화 원칙에 우선해야한다는 말이 잘 이해되지 않습니다.
효율성의 원칙과 이득의 총량의 극대화 원칙에 대해서도 자세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2.차등의 원칙과 효율성의 원칙이 어떻게 양립가능한 것인지 설명부탁드립니다.
마르크스
교재에서 ‘ 그는 공산주의 사회를 건설하는 과정에서 프롤레타리아 계급의 의지와 자기 계급에 대한 충성심을 강조하였다. 그런데 마르크스는 또한 역사 발전 과정을 변증법적인 필연성에 따라 예정된 목표를 향해 나가는 과정으로 간주한다.’> 이 게 왜 자기 모순이 되는지 잘이해되지 않습니다.
공화주의
페팃이 적극적 자유에 대해서
시민이 직접적인 정치에 참여하는데 왜 시민의 의도와 무관하게 국가의 자의적 지배를 용인하게 되는 건지 잘 이해되지 않습니다.
민주사회주의의 성립 배경
사회주의 세계관(마르크스-레닌주의 X)을 기초로 하여 이상주의적 휴머니즘을 제창한 사회주의 한 형태,스탈린식 공산주의와 종래의 사회민주주의 노선 비판이라는 말에 대해서 잘 이해되지 않습니다 ㅠㅠ
381p에 나오는 역류효과와 지체 효과의 정확한 의미가 궁금합니다. 또한 신기능주의는 경제부분의 통합을 중시한다고 보는데 왜 정치분야를 축으로 하는 것이며 갈등이 쉽게 조장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