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월 강의질문] 나딩스 질문드립니다.
- 작성자
- 문성은
- 등록일
- 2024년 05월 31일 15시 34분
- 조회수
- 130
- 첨부파일
-
안녕하세요 교수님!
교과 강의를 듣던 중, 나딩스의 배려의 감정에 기반한 배려윤리가 흄의 도덕감에 기초해 있다라는 부분과, 윤리적 배려의 감정으로서의 의무감에 대해 궁금증이 들어 질문드립니다.
1. 나딩스는 배려 행위가 이성보다는 자연적 배려의 감정에서 나오는 것으로 보고 배려 행위의 동기로서 감정을 들었다는 것에서 흄의 정서주의를 계승했다는 것으로 이해했습니다. 그런데 나딩스는 행위의 도덕성을 결국 이성보다는 감정에 우위를 둠으로써, 즉 행위의 '동기'를 토대로 도덕성을 파악하는 것 같은데, 흄은 행위의 도덕성이 도덕적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행위이냐 아니냐에서 파악되는 것이지 행위의 '동기'가 어떤 것이냐에 따르는 것이 아니라고 이해했습니다. 그렇다면 나딩스의 배려윤리가 도덕감에서 기초했다는 것은 흄의 '정서가 행위의 동기'라는 것을 계승한 것이지, '도덕감을 불러일으키는 행위가 도덕적인 행위이다'라는 것을 계승한 것은 아닌지 궁금합니다..!
정확히 나딩스의 배려윤리가 흄의 도덕감이론에서 어떤 것을 계승한 것인가요?
2. 나딩스는 자연적 배려의 감정에서 동기화된 자연적 배려가 윤리적 배려의 감정, 즉 의무감으로부터 동기화된 윤리적 배려보다 도덕적 가치가 있다고 말합니다. 그렇다면 자연적 배려는 이성의 작용 없이 순전히 자연적 배려의 감정이 동기인 것이고, 윤리적 배려는 의무를 의식할 수 있도록 하는 이성의 작용이 개입한 감정인 것인가요?
항상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