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4~5월 강의질문]  고전공리주의 3, 7번 문항 질문드립니다.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24년 06월 10일 19시 20분
조회수
131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보편성을 지닌 도덕감의 근원인 공감을 언급하지 않은 내용을 오답입니다. 2. 그의 저서 ‘공리주의’에서 밀은 ‘사회적 공리’를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 [고대호 회원님의 글] ▒▒▒▒▒▒ 각각 교재 117, 124 페이지에 있는 문항입니다. 3번 문항 질문드립니다. 저는 밑줄 친 물음에 대한 답을 서술할 때 '인간은 사회적 유용성을 지닌 행위와 그러한 행위를 목격할 때 시인의 감정을 느끼게 되므로 자신 뿐만 아니라 타인의 행복을 추구할 수 있게 된다.' 사회적 유용성에 초점을 맞추게 되면 아쉬운 답변인가요? 7번 문항 질문드립니다. '사회적 공리란 사회의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의미한다.' 라고 예비 답안이 기재되어 있는데 공리 개념은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이라고 서술해도 충분할까요? 공리의 원리는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의 원리'이라고 기재할 경우 불충분한 답안이라는 것이 생각나 질문드립니다.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