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4~5월 강의질문]  이이 1, 4번 문항, 보충자료 질문드립니다.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24년 06월 10일 19시 55분
조회수
192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네. 조선성리학 지문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2. 서술한 내용을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기발이승’의 의미를 정확히 활용하여 서술하셔야 합니다. “칠정은 기가 발하고 이가 발하는 기를 탐으로써 발현되는 모든 종류의 정”이라는 문장에 ‘이발’의 의미를 지닌 내용은 없습니다. 3. ‘인의예지는 모두 이의 유행이다.’에서 이는 존재자들에 품수된 이, 즉 성을 일컫습니다. ‘이의 유행’은 이가 스스로 움직여 돌아다닌다는 의미가 아니라 널리 퍼져 있다는 의미입니다. 이러한 이의 유행은 스스로 그렇게 하는 것이 아니라 반드시 기를 타고 이루어집니다. ▒▒▒▒▒▒ [고대호 회원님의 글] ▒▒▒▒▒▒ 각각 329페이지, 334페이지 내용입니다. 1. '기발이승일도', '기발이승' 이라는 표현은 주자가 사용한 적 없는 표현인가요? 위 두 표현이 나오면 이이 내지는 조선성리학 지문으로 이해해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2. 저는 답안(을, 이이에 대한 사단,칠정의 발현)아래와같이 작성했습니다 을은 사람의 마음에서 기가 발할 때 이가 드러나면 사단이 나타나고, 사람의 마음에서 기가 발할 때 이가 드러나지 않을 경우에는 칠정으로 나타난다 라고 작성하였는데, 틀린 서술일까요? 그리고 예시 답안에 '칠정은 기가 발하고 이가 발하는 기를 탐으로써 발현되는 모든 종류의 정이고' 라고 기술되어있는데, 이이는 이발설을 부정하는 것으로 알고있는데 어떻게 이해하면 될까요> 동양윤리 보충자료 5페이지 질문 드립니다. ㄱ. 인의예지는 모두 이의 유행이다. 라고 되어있는데 여기서 말하는 인의예지는 성이고, 이의 유행이라고 할 때 이는 존재자들에 품수된 이가 아니라 품수되기전의 태극을 의미하는 것이 맞나요? 그런 의미에서 이 문장을 성은 태극으로부터 품수받은 것이다 정도로 해석했는데, 이런 해석이 맞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유행이라는 표현이 정확히 어떤 표현인지도 궁금합니다. 발한다라는 표현과는 다른 것인가요?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