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5~6월 강의질문]  반두라 비고츠키 태펀 질문 드립니다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24년 06월 10일 20시 27분
조회수
178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반두라는 도덕교육의 본질을 도덕적 행동의 학습으로 보고, 콜버그는 도덕교육을 도덕성 발달을 위한 교육으로 봅니다. 비고츠키는 정확히 말해서 도덕교육론자가 아닙니다. 비고츠키는 고등정신기능의 발달에 관심을 두었던 학자입니다. 2. 아동의 발달 수준이 학습의 사전 조건이고, 학습은 아동의 잠재적 발달 수준을 실제적 발달 수준으로 변화시키는 기제라는 것이 학습과 발달의 관계에 관한 비고츠키의 관점입니다. 3, 5.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과 사회적 구성주의는 상이한 본질을 지닌 두 이론입니다. 따라서 두 이론을 연결하여 이해하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따로 공부하시기 바랍니다. 4. 도덕발달론은 도덕적 사고력 혹은 도덕적 판단력을 발달시킴으로써 개인이 자율적인 도덕적 행위자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도덕교육의 본질이자 목적으로 보는 도덕교육론의 한 종류입니다. 따라서 반두라의 도덕교육론은 도덕발달론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 [권가연 회원님의 글] ▒▒▒▒▒▒ 1.도덕교육을 학습으로 보는 대표자가 반두라이고 도덕교육을 발달로 보는 대표자가 콜버그라 하는 것이 맞는지 궁금합니다. 맞다면 비고츠키는 이 두학자를 통합한 학자라고 봐도 될까요? 2.비고츠키의 학습과 발달간 관계에서 상호역동적 관계라 하면 선후 관계는 없는 것인가요? 학습이 발달을 이루어지게 한다고 알도 있는데 혼란스러워 질문드립니다 2.반두라의 경우 환경(사회)과 인지능력을 가진 인간이 상호작용해 도덕적 행동을 학습하는 사회학습이론가이고 비고츠키와 태펀은 사회에서 구성된 지식이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되어 발달한다고 보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고 보면 될까요? 3. 반두라의 경우 발달 개념을 부정하고 학습이라는 개념을 긍정했다고 보았다고 알고 있는데 학습의 결과 발달이 일어난다고 봐서 도덕성 발달을 얘기한 것인지 궁금합니다. (이렇게 되면 비고츠키와 유사해지는 것 같습니다.). 5. 사회학습이론과 사회적 구성주의간에 인지주의, 학습 같은 공통점이 있어보여 이런 복잡한 질문들이 나온 것 같습니다.. 따로 분리해서 공부해도 괜찮을까요? 항상 친절하게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