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월 강의질문] 질문드립니다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24년 07월 08일 21시 21분
- 조회수
- 145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루소의 공화주의는 신로마 공화주의 혹은 신아테네 공화주의 어느 한편으로 분류할 수 없는 복합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달리 말하면 두 유형의 공화주의의 특성을 모두 가지고 있는 것이 루소의 공화주의입니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현대 정치학자들은 루소의 공화주의를 민주주의적 공화주의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2, 3. 샌델의 공화주의 혹은 신아테네 공화주의가 말하는 공화주의적 자유의 본질은 자치 혹은 개인적 자율로 구현되는 적극적 자유입니다. 즉, 자치는 자유의 본질이지 자유의 실현 조건이 아닙니다. 이러한 자유의 실현 조건으로 신아테네 공화주의자들이 강조하는 것이 시민적 덕성과 정치 참여 혹은 자치 경험입니다.
4. 네.
5. 어떠한 본질, 목적, 존재의 필연성도 가지지 않은 채 세계에 우연히 던져진 후, 자신의 자유로운 선택을 통해 자신의 본질과 목적, 그리고 세계의 변화를 창조해 나가는 존재이자 자신의 자유로운 선택과 그 결과에 대해 스스로 책임져야 하는 주체적 존재가 사르트르의 참된 실존입니다.
▒▒▒▒▒▒ [권가연 회원님의 글] ▒▒▒▒▒▒
학습포인트로 복습을 하다 의문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1. 루소가 신로마 공화주의자가 맞는지 궁금합니다.
맞다면 적극적 자유비판시 같은 신로마주의자인 루소를 비판한것이 맞는지 궁금합니다.
2. 샌델의 공화주의적 자유의 실현조건이 정치참여, 자치경험, 시민적 덕성, 자치역량, 자치역량을 본질로 하는 시민적 덕성 중 어떤답을 써야 할지 궁금합니다.
3. 신아테네 공화주의의 자유의 조건은 시민적 덕성, 자치경험 이렇게 보면 될까요?
4. 샌델의 자유의 실현조건과 신아테네 공화주의자의 자유의 실현조건을 똑같이 봐도 괜찮을까요?
5. 사르트르의 참된 실존의 성격에 대해 서술한다고 하면 자기 고유의 상횡에 대면해서 자신의 전적인 책임을 의식하고 그 상황을 변경유지고발하기 위해서 행동할 것을 결심하는 태도인 앙가주망에 대해 서술하는게 맞는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