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월 강의질문] 흄 기출[23년][80p] 및 문풀 강의 질문 드립니다.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24년 07월 15일 19시 09분
- 조회수
- 196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흄의 인식론에 따르면, 쾌락이나 고통은 정념이 아닙니다. 도덕적 구별은 기준이 되는 것은 쾌락이나 고통이라는 직접적 인상에서 기인하는 반성 인상, 즉 시인과 부인의 감정인 정념입니다. 이처럼 도덕적 구별의 기준인 정념은 쾌락이나 고통이라는 감정에서 직접적으로 도출되는 것, 달리 말해서 그것에 전적으로 의존해 있는 것입니다. 말씀하신 구절은 이러한 관점에서 이해하셔야 합니다.
2. 해당 문제는 관조적 활동이 ‘최고의 활동인 이유’를 묻고 있는 문제이지, ‘관조적 활동이 최고선’인 이유를 묻는 문제가 아닙니다.
▒▒▒▒▒▒ [이승진 회원님의 글] ▒▒▒▒▒▒
1. 기출80p 스피노자 4번 문항
도덕적 구별은 ㉠쾌락이나 고통이라는 특정 소감에 전적으로 의존한다.
이 부분에서 도덕적 구별의 근거는 쾌락과 고통이라는 직접 인상에서 근원한 반성인상인 시인과 부인의 감정으로 알고 있었는데, ㉠은 직접 인상을 가리키는게 아닌가 싶어 헷갈렸습니다. '쾌락이나 고통이라는 특정 소감', 이것이 정념(시인과 부인의 감정)을 가리키는 것인가요?
2. 아리스토텔레스 문제(19번, 25p]
㉢의 답이 "인간의 고유한 기능인 이성이 인간에게 있어서 최고의 것이고, 그러한 이성의 대상은 인식할 수 있는 대상 가운데 최고의 것이기 때문이다."인데, "관조적 활동은 순수하고 완전한 즐거움을 인간에게 부여한다. 관조적 활동은 자족적이다. 관조적 활동은 다른 무엇 때문이 아니라 오직 그것 때문에 사랑받는 유일한 것이다. 관조적 활동은 사유 활동이므로, 그것은 전 생애에 걸쳐 지속적으로 행해질 수 있다."를 쓰면 오답일까요? 관조적 활동이 최고선인 이유와, 관조적 활동이 최고의 활동인 이유를 묻는 발문에는 각각 다른 답변을 써야 되는지 궁금하여 질문드립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