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월 강의질문] 튜리엘 관련 질문입니다!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24년 07월 15일 20시 19분
- 조회수
- 163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콜버그가 어떤 사람의 행위의 도덕성을 판단할 때에는 그 사람의 동기를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할 때, ‘동기’란 그 사람의 의지나 감정이 아니라 그 사람의 도덕판단입니다. 그리고 도덕판단을 고려할 때에 고려해야 할 것은 판단의 내용이 아니라 판단의 이유, 즉 그 사람이 사용한 도덕원리입니다. 이런 점에서 객관적이고 보편적인 도덕원리, 즉 정의의 원리, 인간 존엄성 존중의 원리가 적용된 도덕판단에서 나온 행위가 최선의 행위입니다.
이러한 콜버그의 입장을 튜리엘은 기본적으로 수용합니다. 그에게 있어서 도덕적 행위란 ‘타인에게 피해를 주지 않고 타인을 공정하게 대우하라’라는 보편적이고 객관적인 도덕원리에 부합하는 행위이고, 악한 행위란 그것을 위반하는 행위입니다. 그런데 그러한 행위들은 도덕원리에 부합하는 혹은 위반하는 결과가 그 자체 안에 본질적으로 내재되어 있는 행위들입니다. 예를 들어 무고한 사람에게 폭력을 가하는 행위가 악한 행위인 이유는 그것이 도덕원리를 위반하는 결과를 그 자체 안에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 때 그러한 행위가 세계 안에 산출하는 결과(무고한 사람에게 폭력을 행사하여 사회 전체 행복량을 증대하는 것과 같은 결과)는 그 행위의 도덕성을 판단하는 기준이 될 수 없습니다.
▒▒▒▒▒▒ [문성은 회원님의 글] ▒▒▒▒▒▒
안녕하세요 교수님:)
교과교육 튜리엘 관련 잘문이 있어 문의드립니다.
튜리엘은 어떤 행위에 대한 도덕판단의 정당화로 행위에 내재한 ‘본질적 결과’를 중시한다고 합니다.
그 예로 타인을 때리는 행위는 그 자체 내에 타인에게 해를 입히는 행위이기에 도덕적으로 옳지 않은 행위라고 이해했습니다.
그렇다면 튜리엘은 콜버그처럼 어떤 행위에 있어 도덕적으로 더 옳은 행위는 그 행위를 한 행위자의 동기와 상관없이, 내재된 본질적 결과에 맞는다면 도덕적이라고 정당화될 수 있는 것인가요?
예를 들어 콜버그는 자신의 이익을 고려해서 한 행위보다 타인의 복지를 고려해서 한 행위가 더 도덕적으로 적절한 행위이고, 따라서 결과가 아니라 동기를 중시하는데, 튜리엘은 나 자신만을 고려하든 타인의 복지에 대한 관심에서 나왔든 타인에게 좋은 결과를 발생시키는 행위라면 그 본질적 결과는 같으므로 같은 도덕성을 지니는 건지 궁금합니다!
늘 감사합니다! :)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