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3~4월 강의질문]  통일 및 응용 질문

작성자
고하늘
등록일
2024년 07월 27일 20시 52분
조회수
165
첨부파일
1. 교재 P433, 인간 중심주의 환경 윤리의 특징으로 현대의 환경 문제의 근원은 인간 중심적 태도나 사고가 아니라 인간의 무지, 탐욕, 근시안적 사고라고 설명되어 있다. 그러나 인간의 탐욕과 근시안적 사고가 곧 인간 중심적 태도로 이어지는 것 아닌가요? 2. 교재 P443, 피터 싱어의 윤리학적 입장을 설명해 주시며 이기주의의 원리(=자기이익추구의원리) 는 보편화 불가하기에 윤리가 될 수 없다고 설명해 주셨습니다. 그러나 p443 두 번째 원문을 보면 공리주의는 최소한의 것이며 이기적인 의사 결정을 보편화함으로써 도달하게 되는 첫 번째 지점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이기주의의 원리는 보편화 불가한데 공리주의는 이기적인 의사결정을 보편화하는 것이라는 말이 되는데 상충되지 않는지 의문이 듭니다. 3. 통일교육론 4장(남북한 통일 방안)에 대한 보충 자료 내용은 없나요? 6주차 보충자료에 4장만 빠져있어서 문의 드립니다. 4. P373 북한 이해 방법론 중 외재적 접근법은 외부인의 시각(자유민주주의, 자본주의적 시각, 전체주의 관점 등)을 기준으로 북한 체제의 전반적 현상을 분석한다고 합니다. 그러나 북한은 공식적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라는 이름을 사용하지만, 실제로는 자유민주주의와는 거리가 먼 체제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북한은 사회주의 경제체제를 유지하고 있다는 관점에서 자유민주주의와 자본주의는 외부인의 시각에서 본 것이 아닌 북한 사회주의가 스스로 제시한 내재적 접근법에 속하는 것으로 볼 수 있는 것 아닌가요? 5. P381에서 두번째줄, 기능주의는 국가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인 정치, 외교, 군사 등에 대한 통합은 초기 단계에서 배제된다는 설명이 이해되지 않습니다. 비정치적 분야에서의 기능적 협력이 발전되면 정치 분야까지 협력을 조장하는데 어째서 정치, 외교, 군사 등에 대한 통합이 초기 단계에서 배제되나요?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