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월 강의질문] 질문드립니다.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24년 07월 29일 22시 29분
- 조회수
- 193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객관적이고 보편적인 도덕적 이해가 성격에 통합됨으로써 도덕적 정체성이 형성됩니다. 도덕적 정체성이 형성되면 인간에게 선천적으로 존재하는 자아일관성, 즉 자신의 자아와 일치하고자 하는 내적 욕구는 도덕적 자아와 일치하여 행동하고자 하는 욕구가 됩니다. 이 욕구가 도덕적 행위의 동기적 욕구로 작용하며, 이 욕구 때문에 책임판단이 강화됩니다. 이렇듯 도덕적 정체성은 도덕적 이해와 선천적인 자아일관성의 통합을 가능하게 하는 기제가 아닙니다. 그리고 도덕적 정체성으로부터 선천적인 자아일관성이 도출되는 것이 아니라, 선천적인 자아일관성에 도덕적 성격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도덕적 정체성입니다.
▒▒▒▒▒▒ [김예지 회원님의 글] ▒▒▒▒▒▒
블라지 관련 질문입니다.
그 자체로는 동기적 힘을 지니지 않는 도덕적 이해와 선천적인 자아일관성이 결합함으로써 도덕적 행동을 동기화하게 되고 그에 따라 행위를 산출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도덕적 정체성으로부터 결과적으로 책인판단이 나옵니다.
그런데 도덕적 정체성으로부터 자아일관성이 도출된다는 것과 관련하여 제가 이해한 것이 맞는지 확신이 안 서서 질문드립니다.
도덕적 이해와 선천적인 자아일관성 사이의 통합을 가능하게 하는게 도덕적 정체성이므로 그러부터 자아일관성이 도출되는 것이라고 주장하는 것일까요?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