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잘 사는 것은 모든 인간이 본성적으로 추구하는 목적입니다. 본성적으로 인간은 오직 선만을 추구하고 어떠한 경우에도 악을 목적으로 추구하지 않으니까요. 이런 점에서 무절제한 사람 또한 잘 살고자 하는 욕구를 지닙니다. 단, 무절제한 사람은 쾌락을 과도하게 추구하는 삶을 잘 사는 삶으로 생각하는 사람이고, 따라서 무절제한 행동을 합리적으로 선택하는 사람이자, 자신이 선택한 것을 욕구하는 사람입니다. 이러한 욕구는 잘못된 선택에 따른 욕구로서, 올바른 욕구가 아닙니다.
2. 합리적 선택의 본질은 이성적으로 숙고하여 목적(잘 삶, 좋은 삶, 행복) 달성을 위한 최선의 수단인 행동을 선택하는 것입니다. 무절제한 사람이 매 순간 쾌락으로 충만한 삶의 실현이라는 목적 달성을 위해 이성적으로 숙고하여 무절제한 행동을 선택할 때, 그러한 선택은 합리적 선택입니다. 그리고 무절제한 사람은 선택한 행동을 욕구하여 실제로 행동하기 때문에, 그의 합리적 선택은 행위의 일차적 동기가 됩니다. 하지만 이러한 합리적 선택은 신실한(좋은, 올바른) 합리적 선택이 아닙니다. 어떤 합리적 선택이 신실한 합리적 선택이기 위해서는 이성적 숙고에 따른 선택이 올바른 것이어야 하고, 그러한 올바른 선택을 욕구해야 합니다. 요컨대 모든 형태의 합리적 선택이 올바른 것은 아닙니다. 악인의 합리적 선택 또한 존재한다는 점을 이해하시기 바랍니다.
3.
자제력 있음: 나쁜 감정을 올바른 이성이 부여하는 올바른 행위의 원리에 따라 제어할 줄 아는 사람의 성품
자제력 없음: 올바른 행위의 원리는 알고 있으나, 감정에 때문에 그러한 원리에 따라 행동하지 못하는 사람의 성품
절제 있음: 항상 좋은 행동을 합리적으로 선택하고, 나쁜 감정을 가지지 않기 때문에 언제나 자신의 합리적 선택에 따라 실천하는 사람의 품성
무절제: 합리적 선택도 잘못되었고, 잘못된 합리적 선택을 욕구하여 행동하는 사람의 품성
▒▒▒▒▒▒ [최가연 회원님의 글] ▒▒▒▒▒▒
교수님, 안녕하세요.
7~8월 영역별 모의고사 아리스토텔레스 16번 문제 해설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자제력 있음, 자제력 없음, 절제 있음, 무절제 총 4가지에 대해 나름 정리해 보았을 때 다음과 같습니다.
1. 자제력 있음: 올바른 욕구X, 올바른 이성적 숙고X, 선에 대한 앎에 따라 올바르지 않은 욕구 억제하고 자제하여, 합리적 선택에 따라 행위.
2. 자제력 없음: 올바른 욕구X, 올바른 이성적 숙고X, 선에 대한 앎은 있으나 욕구 때문에 자제력 발휘X, 합리적 선택에 따라 행위 실패.
3. 절제 있음: 올바른 욕구O, 올바른 이성적 숙고O, 선에 대한 앎과 욕구가 일치하여 올바른 이성적 숙고가 가능하고, (신실한?) 합리적 선택에 따라 즐기면서 행위
4. 무절제: 올바른 욕구X, 올바른 이성적 숙고X, 선에 대한 앎이 없고(무지), 잘못된 이성적 숙고에 의해 판단내린 수단(행위)이 (신실한?) 합리적 선택이라고 착각하여, 잘못된 합리적 선택에 따라 즐기면서 행위.
(1) 강의에서는 '무절제한 사람은 잘 살고 싶어하는 욕구를 다른사람들과 똑같이 갖고 있는데 잘못된 행위를 선택하여 무절제를 행한다'고 말씀하셨습니다. 교재p.77 원문에 따르면 "자제력 없는 사람은 올바른 이치에 어긋나는 과도한 육체적 즐거움을 추구하되 그렇게 하는 것이 옳다고 설득되어 추구하는 종류의 사람이 아닌 반면, 다른 편(무절제)은 과도한 즐거움을 추구할 종류의 사람이기에 그렇게 하는 것이 옳다고 설득되어 있다."라고 되어 있습니다. 여기서 "과도한 즐거움을 추구한다"라는 부분은 무절제한 사람의 욕구가 올바르지 않다는 의미가 아닌가요? 무절제한 사람이 올바른 욕구를 가졌다는 부분이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2) 이 주제와 관련하여 '합리적 선택'이라는 용어가 자주 등장하는데, 제가 이해한 바로는 합리적 선택은 올바른 욕구와 올바른 이성적 숙고에 따라 나온 선택입니다. 그래서 '무절제(악덕)한 사람은 합리적 선택에 따른다'는 것이 잘 와닿지 않습니다.(절제 있는 사람을 제외한 나머지도 마찬가지로 올바른 욕구와 이성적 숙고 둘 중 하나가 결여되어 있는데, 합리적 선택이 어떻게 도출될 수 있는지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아니면, 합리적 선택은 목적의 성취를 위한 수단을 숙고하여 선택하는 것이므로 목적이 옳고 그름과는 상관없는 것이기 때문에 합리적 선택과 신실한 합리적 선택을 구분해야 하는 것인가요?
(3) 맨 처음 정리해놓은 4가지 유형 설명 중 혹시 틀린 부분이 있는지 확인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공부가 많이 부족하여 질문 내용이 혼란스러운 점 죄송합니다. 바쁘신 와중 답변 감사드립니다:)
본문
댓글목록
최가연의 댓글
최가연작성일 2024-07-30 23:00:12
감사합니다 교수님. 추가로 여쭤보자면 주신 답변 3번에서 자제력 있음의 설명 중 "올바른 이성"이란 실천적 지혜를 말씀하시는 걸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