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7~8월 강의질문]  피아제 관련 질문드립니다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24년 08월 08일 20시 49분
조회수
161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규칙이란 도덕 규칙 혹은 의무를 일컫는 것입니다. 피아제에 의하면, 이러한 규칙은 외부에서 개인에게 부과되는 것이 아니라 합리적이고 자율적인 방식으로 개인이 구성하고 선택하고 수용하는 것입니다. 2. 타율적 도덕성 단계에서 도덕규칙을 따른다는 것은 성인이 부과한 명령을 일방적으로 따른다는 말과 같습니다. 이 단계에서 개인이 도덕판단을 할 때, 그는 성인이 부과한 명령을 기준으로 도덕판단을 하게 됩니다. 3. 피아제에게 있어서 도덕성의 본질은 갈등 해결의 논리, 즉 인간관계에서 발생하는 갈등을 합리적이고 공정한 방식으로 해결할 수 있는 도덕적 추론 능력입니다. 4. 자율성과 합리성은 성숙한 도덕성, 즉 자율적 도덕성의 본질을 이루는 것입니다. 달리 말해서 자율성과 합리성은 타율적 도덕성의 속성이 아닙니다. 5. 네. ▒▒▒▒▒▒ [권가연 회원님의 글] ▒▒▒▒▒▒ 피아제에서 도덕: 인간과 사회의 어떤 근본 원리에 기초하면서 비판적 반겅적 사고를 거쳐 선택되고 받아들여진 규칙들의 체계라고 정의 되는데 여기에서 규칙의 의미가 궁금합니다. 1-1. 여기서 말하는 규칙을 한 개인이 여러 문제상황을 해결했던 여러 도덕판단들이라고 봐도 될까요? 1-2. 여기서 말하는 규칙은 도덕적 문제상황에서 도덕적 추론과정 중 도덕원리에 해당하는지 도덕판단에 해당하는지 궁금합니다 1-3. 규칙은 행동선택의 측면에서는 도덕적 행동을 할때 필요한 도덕원리이기도 하고 규칙형성의 측면에서는 도덕판단인건가요? 2. 타율적 도덕성 단계에서 도덕규칙을 따른다=도덕판단을 한 것 이라고 보면 될까요? 즉 피아제에게 있어 도덕판단은 도덕적 문제상황에서 성인이 부과한 규칙들 중 하나를 정해 규칙을 따르는 것이라고 보면 될까요? 3. 도덕성을 정의할때 도덕적 문제상황에서 근본원리에 기초하면서 비판적 사고와 반성적 사고를 거쳐 만들어진 규칙으로 해결하는 도덕적 능력으로 정의해도 될까요? 4.피아제의 자율성=도덕성으로 봐도 될까요? 5. 규칙을 선택하거나 수립하면 바로 행위 한다고 보면 될까요? 많은 질문에 답해주셔서 항상 감사합니다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