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3~4월 강의질문]  롤스 중첩적 합의 질문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24년 08월 13일 19시 49분
조회수
209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정치적 자유주의’에서 롤스의 ‘도덕적 관점’을 다음과 같이 정의합니다. “어떤 관점이 도덕적이라 함에 있어, 나는 다른 것들 중에서 특히 그 내용이 특정의 이상 및 원칙과 기준들에 의해 주어지는 것을 의미하며, 그리고 규범들이 특정한 가치, 이 경우에는 정치적 가치를 표명해주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 따라서 중첩적 합의의 목적인 정치적 정의관은 그 자체 도덕적 관점이라는 말은 곧 정치적 정의관이 정치적 가치를 표명해 주고 있는 정의관이라는 말입니다. 그리고 민주 사회의 시민들은 정치적 정의관을 민주 사회의 공적 정치 문화에 내재해 있는 근본 개념들, 원칙들, 정치적 가치들 및 덕목들에 근거하여 수용합니다. 그래서 도덕적 근거에서 수용한다고 하는 것입니다. 교재에는(228쪽) ‘중첩적 합의의 산물인 정치적 정의관을 인정하는 모든 사람들이 자신의 포괄적 관점으로부터 출발하여 그것이 제공하는 종교적, 철학적, 그리고 도덕적 근거에 근거하여 수용하는 것이다.’로 되어 있습니다. ▒▒▒▒▒▒ [장미경 회원님의 글] ▒▒▒▒▒▒ 안녕하세요! 중첩적 합의는 '포괄적 교리들과는 독립적인 정치적 정의관 형성을 위해 합당한 포괄적 교리를 가진 시민들의 합의점을 찾는 것' 이라 정치적 정의관은 종교,철학, 도덕과 무관해야 한다고 이해했습니다. 그런데, 잠정적 타협이 아닌 안정적 정의관임을 설명하면서 왜 중접적 합의가'그 자체 도덕적 관점이며, 도덕적 근거에서 수용된다‘는 것인지 이해가 어렵습니다. 즉, '정치관을 인정하는 모든 사람들이 자신의 포괄적 관점으로부터 출발하여 그것이 제공하는 종교,철학,도덕적 근거에 기초해 입안한다’ 라는 말이 ‘포괄적 교리들과 독립적’ 이라는 말과 상충되게 느껴지는데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요? 중첩적 합의의 ‘도덕’과 포괄적 교리에서의 ‘도덕’이 서로 다른 개념인지 궁금합니다!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