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1~2월 강의질문]  메타윤리학 서술적 의미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24년 08월 13일 19시 57분
조회수
144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서술적 의미와 관련하여 두 학자의 입장을 굳이 구분할 필요는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판단 대상이 지닌 사실적 속성에 대한 정보를 부여하는 도덕판단의 한 기능을 도덕판단의 서술적 의미라 한다는 점만 알아두시면 되겠습니다. ▒▒▒▒▒▒ [최가연 회원님의 글] ▒▒▒▒▒▒ 교수님, 안녕하세요. 메타윤리학에서 스티븐슨의 정서주의 중 '서술적 의미'와 헤어 규정주의의 '서술적 의미'개념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스티븐슨과 헤어 둘 다 '서술적 의미'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는데, 스티븐슨의 서술적 의미는 어떤 진술에 대해 대화자의 마음속에 어떤 생각이 유발된 모습(ex. 나는 이것을 못마땅하게 생각한다.)의 측면에서의 '서술적 의미'이고, 헤어의 서술적 의미는 이견의 여지가 없는 객관적인 사실, 현상(ex. 친구가 길에 쓰레기를 버렸다.)의 측면에서의 '서술적 의미'로 사용했다고 이해하면 될까요? 하지만 스티븐슨 제2형의 분석에서 '좋음'의 서술적 의미가 평가 대상에 대한 발언자의 태도나 관심에 관한 사실적 정보뿐만 아니라 '평가 대상이 지닌 성질 혹은 관계'도 의미한다고 되어있어 헤어와 어떻게 구분하여 이해해야 할 지 질문드립니다. 바쁘신 와중 답변 감사드립니다.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