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1~2월 강의질문]  이황 성발위정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24년 08월 19일 21시 58분
조회수
144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모순은 없습니다. 이황의 심통성정설에 의하면, 마음을 성과 정을 거느리고 있는 존재입니다. 마음의 성이 사사물물에 감하여 발하고 마음의 기가 어떠한 용사도 하지 않을 경우 마음에 드러나는 정이 사단입니다. 마음이 성의 인도에 따라 작용하면 칠정 중 선한 정이 산출되고, 마음의 작용이 성의 인도에 반하면 악정이 산출됩니다. 참고로 심주성정은 마음은 성을 주재하여 성이 발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닙니다. 그것은 마음이 성(성명, 도리, 도의)에 따라 작용하여 선한 정을 드러내는 것을 의미합니다. 2. 도심은 마음이 이(도의, 도리, 성명)에 따라 작용하여 기에 용사됨 없이 이의 본연이 그대로 발현된 도덕적인 마음입니다. 이처럼 도심의 근원은 이입니다. ▒▒▒▒▒▒ [김민주 회원님의 글] ▒▒▒▒▒▒ 안녕하세요 교수님 질문 드립니다 ! 1. 이황 또한 심통성정을 주장했다고 하는데 , 심통성정은 성이 직접 발하지 않고, 마음이 성을 주재하여 성이 발할 수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성발을 주장한 퇴계의 주장과 모순되는 것이 아닌지 궁금합니다 2. 퇴계에게 도심은 리발입니다. 그렇다면 도심은 심발이 아닌,성발인지 궁금합니다. 내용이 너무 헷갈리고 어려워 질문 드립니다ㅜㅜ 감사합니다 !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