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월 강의질문] 교과교육 질문
- 작성자
- 김민주
- 등록일
- 2024년 08월 30일 18시 17분
- 조회수
- 153
- 첨부파일
-
안녕하세요 교수님, 질문 드립니다
1. 블라지의 도덕적 자아 모델 순서가
도덕적 이해 -> 도덕적 정체성 -> 책임판단 -> 자아일관성 -> 도덕적 행동
도덕적 이해 -> 도덕적 정체성 -> 자아일관성 -> 책임판단 -> 도덕적 행동
위 둘 중 어느 것이 옳은지 궁금합니다.
2. 피아제는 타율적 도덕성 단계에서는 속죄적 벌을, 자율적 도덕성 단계에서는 호혜성에 의한 벌을 채택합니다. 이때 전자의 벌은 자의적이고, 후자는 자의적이지 않은 특징을 갖고 있다고 서술돼 있는데, 그 이유가 궁금합니다‘
3. 튜리엘은 도덕교사의 역할로 “전통적 인격교육적 관점+ 인지발달론적 관점” 통합을 주장합니다. 여기서 전통적 인격교육의 관점은 보편, 불편하는 도덕적 영역에서, 인지발달론적 관점은 변화 가능한 인습적 영역에서 기인한 것인가요? 아니라면 각각의 관점이 뜻하는 바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4. 베닝가의 전통적 인격교육은 가치명료화, 콜버그, 듀이를 비판했습니다. 전통적 인격교육론은 공동체 규범을 중시하기 때문에 민주주의에 긍정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콜버그와 가치명료화의 민주적 교육의 이론적 배경의 이유를 들어 듀이를 비판하는지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이에 대한 설명을 해주신다면 감사 드리겠습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 :)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