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4~5월 강의질문]  레스트 질문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24년 09월 09일 23시 04분
조회수
177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규범 유지 스키마를 습득한 사람은 자기 이익의 실현이 아니라 사회 질서의 유지 혹은 자신이 속한 사회의 공공의 이익의 실현이라는 입장에서 법 혹은 사회의 도덕 규칙을 준수하는 사람입니다. 이런 점에서 볼 때 규범 유지 스키마를 습득한다는 것은 곧 사회 질서의 유지라는 도덕적 필요의 의미를 이해하고 체득하는 것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2. 4구성 요소라는 심리적 과정에는 각각 그것들의 작용에 관여하는 정서적 요소와 인지적 요소가 있고, 그러한 두 요소들의 상호작용하여 4구성 요소라는 심리적 과정들이 작동한다는 의미입니다. ▒▒▒▒▒▒ [최가연 회원님의 글] ▒▒▒▒▒▒ 안녕하세요, 교수님. 레스트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1. 규범유지 스키마 특징에서 ‘ 규범 유지 스키마를 습득한다는 것은 인습적 사고자들에게 사회 질서의 유지를 위한 도덕적 필요의 의미를 제공한다는 것을 뜻함’이라고 되어있는데, 도덕적 필요의 의미를 제공한다는 것의 의미를 잘 모르겠습니다. 도덕적 정당성을 문제삼진 않지만 사회 질서에 사람들을 따르도록 하는 도덕적 근거를 부여한다는 뜻인가요? 2. 4구성 요소의 특징과 의의에서 ‘ 각각의 4구성 요소 과정은 다른 종류의 인지-정서적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진다. → 4구성 요소 모형은 도덕적 행동은 인지와 정서의 내적인 상호 작용의 산물임을 강조’라고 되어있는데, 각각의 4구성 요소 안에서 인지-정서 상호작용이 이미 이루어지고, 또 그 각각 인지-정서 상호작용이 내재되어있는 4구성 요소들이 서로 상호작용하므로 전체적으로는 인지-정서적 상호작용이 이루어진다고 보는 건가요? 4구성 각각 요소 안에서도 인지-정서 상호작용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뜻인지 궁금합니다. 답변 감사드립니다.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