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8월 강의질문] 질문드립니다.
- 작성자
- 남궁유진
- 등록일
- 2024년 09월 14일 08시 20분
- 조회수
- 105
- 첨부파일
-
교수님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 몇 가지 궁금한 부분이 있어서 질문남깁니다.
1. 벌린의 적극적 자유 비판에서,
적극적 의미의 자유를 견지할 경우, '자기 부정을 통한 금욕을 진정한 자유로 받아들인다'고 했는데, 이 부분이 잘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이는 이상적 자아에 도달하기 위해 현실적 자아를 부정하고 정념과 같은 욕구를 없애려고 노력한다는 의미인가요?
2. 심의민주주의에서 절차에 관한 단순한 동의보다 더 깊은 합의, 즉 도덕적 합의라 부를 수 있는 것에 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보는데, 여기에서 도덕적이라는 단어가 일반적으로 쓰이는 의미(윤리적)가 맞나요?
롤스의 정치적 자유주의 파트의 '중첩적 합의는 그 자체가 도덕적 관점에 대한 합의이다'라는 문장에서는 도덕적 관점이 정치적 가치를 표명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심의민주주의에서도 이러한 맥락에서 쓰인 것은 아닌지 헷갈려서 질문 남깁니다.
3. 슈바이처에서 사랑의 원칙이 '차등의 원칙과 관련해서는 희생의 전제로 기여한다'고 했는데, 이 문장이 잘이해가 안됩니다.
여기서 희생이 = 자신의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다른 생명체를 파괴하는 것인가요?
그리고 사랑의 원칙은 이러한 희생의 전제로 작용하는 것(도덕적 책임을 느끼게 해줌) 인가요?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