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1~2월 강의질문]  아리스토텔레스 질문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24년 09월 20일 22시 57분
조회수
155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아닙니다. 욕구하는 부분의 고유한 기능입니다. 2. 자연적 탁월성은 엄밀한 의미의 탁월성, 즉 품성의 탁월성의 가능태입니다. 따라서 자연적 탁월성이 실천적 지혜의 지도에 따라 덕 있는 활동을 반복함으로써 품성의 탁월성으로 완성될 때에만 개인은 항상 마땅한 감정과 행동을 올바르게 선택하고 선택한 것을 욕구하여 실천할 수 있게 됩니다. 3. 품성의 탁월성의 기원은 습관, 즉 덕 있는 활동입니다. 품성의 탁월성을 소유하지 못한 사람이 덕 있는 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덕 있는 활동이 무엇인지 알고 행할 수 있는 사람, 즉 실천적 지혜를 지닌 사람의 인도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품성의 탁월성은 실천적 지혜가 없이는 생겨날 수 없습니다. ▒▒▒▒▒▒ [이정빈 회원님의 글] ▒▒▒▒▒▒ 안녕하세요. 아리스토텔레스 파트를 공부하면서 궁금한 점이 3가지 있어 질문드립니다. 1. 교재 65페이지에 ‘우리의 고유한 기능은 실천적 지혜와 품성의 탁월성에 따라서 성취된다.‘에서 우리의 고유한 기능은 <인간으로서 최선의 삶을 영위하기 위해 요구되는 참된 앎을 파악하는 이성의 기능>이라고 생각하면 될까요? 2. 자연적 탁월성은 품성상태, 즉 감정에 대해 올바른 태도를 취하게 되고 나쁜 태도를 취하게도 되는 것이 맞나요? 그렇다면 이때 실천적 지혜를 통해 감정과 행위에 대한 태도의 마땅한 것을 선택하는 상태가 되면 감정에 대해 항상 올바른 태도를 취하는 품성상태인 품성의 탁월성을 갖추게 되는 것인 건가요? 3. 자연적 탁월성이 품성의 탁월성이 되기 위헤 실천적 지혜가 필요한 이유를 생각해봤을 때, <감정과 행위의 선택에 있어서 마땅한 것, 즉 올바른 태도가 무엇인지 숙고하여 파악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것이 실천적 지혜의 역할이기 때문이다> 라고 생각하였는데요. 맞는 설명인지 궁금합니다!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