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8월 강의질문] 이이, 이황 관련 질문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24년 09월 20일 23시 54분
- 조회수
- 185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1. 이황의 전문을 보지 못해 이황이 유행지리라는 용어를 사용했는지에 대해 명확한 답변을 드릴 수 없는 점 양해 바랍니다.
1-2. 교기질은 율곡이 발명한 수양법이 아니라 수양의 요체로 강조한 것입니다. 반드시 알아두셔야 할 것은 성리학이 제시하는 여러 수양의 방법 중에서 율곡이 유독 교기질을 중시한 이유입니다.
2. 성학십도를 보면, 이황이 주희의 이일분수설을 계승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 [장미경 회원님의 글] ▒▒▒▒▒▒
안녕하세요. 이이 관련 질문 드립니다!
이이 12번 문제 설명 시 퇴계는 이의 자발적 활동성을 인정하는 반면 율곡은 이를 무위하다고 보니 국한하는 기를 바꿔야 한다고 생각하기에 교기질을 이야기한다고 설명해 주셨습니다.
1) 유행지리(분수지리) 라는 단어와 교기질이라는 단어가 이황과 주자도 모두 사용한 표현인지 궁금합니다.
1-1) 이황에서 유행지리와 유사한 개념으로 상대리라고 하고 유행지리라는 단어는 이이에서만 본 것 같은데 이황은 유행지리라는 표현을 쓰지 않았는지.
1-2) 교기질은 주자와 이황에서도 모두 들었던 것 같은데 모두 주장한 부분이기는 하나 그냥 강조한 게 다른 건지 궁금합니다.
2) 주자의 이통기국과 이이의 이일분수은 유사개념으로 이해했습니다. 이게 리로 말하면 본연지리-유행지리, 개체에 품수된 성으로 말하면 통체일태극-각일기성 으로 이해했습니다. 그런데 이황에서는 본연지성-기질지성 언급만 보고 관련 개념 언급을 못 본 것 같습니다. 이황은 주자의 이통기국 개념과 동일하다고 보면 되는 걸까요?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