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8월 강의질문] 이황과 이이의 마음 개념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24년 09월 21일 00시 34분
- 조회수
- 166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안 됩니다. 인심의 도심화는 도의에 따라 인심을 절제하고자 하는 마음의 의지적 지향 작용의 결과입니다.
2. 네.
3. 주희에 의하면, 마음은 여러 요소들을 포함하는데, 대표적으로 성, 정, 의, 재(才) 등이 있습니다. 이황과 이이는 모두 이러한 주희의 입장을 수용합니다. 따라서 이황의 마음은 성과 정만을 포함하고, 이이의 마음은 성, 정, 의를 포함한다고 해서는 안 됩니다. 중요한 것은 이황가 이이가 마음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성격과 그것들의 관계를 어떻게 규정하였는지를 아는 것입니다.
4. “발한 정을 대상으로 계교상량(計較商量)하는 마음의 작용이 의다.”라는 의에 대한 정의는 주희에서 기원하는 것으로, 이황과 이이는 모두 원칙적으로 이 정의를 받아들입니다. 따라서 ‘의’ 개념의 의미와 관련하여 이황과 이이의 입장 사이에 차이점은 없습니다.
▒▒▒▒▒▒ [장미경 회원님의 글] ▒▒▒▒▒▒
안녕하세요! 이황과 이이의 마음과 관련해서 헷갈리는 부분이 있어 질문 드립니다.
1. 이이 문풀에서 이이의 인심과 도심은 하나의 마음이므로 같이 나타날 수 없다고 설명해주셨는데, 그럼 둘은 함께 나타날 수 없으므로 이황이 인심이 도심의 주재를 통해 선하게 되어야 한다고 이야기한 것과 유사하게 표현할 수는 없는 걸까요? 즉 이이에게 ‘도심’이 인심의 도심화를 이끈다, 도심화 시킨다는 표현이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2. 이황은 주희의 '심통성정'을 그대로 계승하나요? 따로 언급이 없었던 것 같아 여쭤봅니다.
3. 이황 문풀에서 인심도심은 심에 속하고 사단 칠정은 정에 속해 차이가 있다고 설명해주셨는데 이때 심은 성+정을 포함해서 의미하는 것이 맞을까요?또한 이이의 경우 성정의일로설을 주장하니 이이에게 인심도심에서의 심은 성+정+의라고 생각하면 될지 궁금합니다.
4. 여기서 좀 더 나아가 이황과 이이의 의 개념이 어떻게 다른 것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이황의 의는 심이 발한 것이며, 이이의 의는 정의 발함에 대한 마음이 느끼는 바 라고 이해했는데 이 둘의 차이를 잘 모르겠습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