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9~10월 강의질문]  모의고사 1회 나딩스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24년 09월 22일 22시 25분
조회수
120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먼저 덕 윤리학 비판 문제에서, ”덕윤리학은 개인의 덕을 주입하는 것에만 신경쓰기 때문에 피배려자를 소외시켜 배려 관계를 훼손한다,“라고 작성해도 될까요?”: 네. ”자연적 배려는 피배려자에게 직접 배려하고자 하는 본원적 감정이고, 윤리적 배려는 자연적 배려를 유지하고 받아들이려고 하는 최선의 자아에 기초해 있기 때문에, 자연적 배려의 감정이 더 근원적이고 윤리적 배려는 자연적 배려에 기초한다.“라고 작성해도 될까요?: 안 됩니다. 자연적 배려와 그것의 동기인 자연적 배려의 감정, 윤리적 배려와 그것의 동기인 윤리적 배려의 감정을 구분하셔야 합니다. 2. 나바에츠는 윤리적 전문가의 특징을 설명함에 있어 도덕적 정체성과 관련한 블라지의 연구 결과를 일정 정도 수용하였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나바에츠가 본격적으로 자신만의 도덕적 정체성 이론을 전개한 것은 아닙니다. ‘공감적 유효성의 구성 요소’란 친밀감, 사랑, 배려, 애착, 동정심, 개방성, 관용 등과 같이 타인에 대한 공감 반응을 위해 요구되는 주요 요소들을 말합니다. ▒▒▒▒▒▒ [최가연 회원님의 글] ▒▒▒▒▒▒ 교수님, 안녕하세요. 현장강의 수강생입니다. (1) 1회 모의고사 전공B 4번 나딩스 문제 질문드립니다. 먼저 덕 윤리학 비판 문제에서, ”덕윤리학은 개인의 덕을 주입하는 것에만 신경쓰기 때문에 피배려자를 소외시켜 배려 관계를 훼손한다,“라고 작성해도 될까요? 또, 자연적 배려가 윤리적 배려의 근원이자 최종 종착점인 이유를 서술하는 문제에서, 교재 내용 중 (3) 자연적 배려와 윤리적 배려의 관계 에 따라 ”자연적 배려는 피배려자에게 직접 배려하고자 하는 본원적 감정이고, 윤리적 배려는 자연적 배려를 유지하고 받아들이려고 하는 최선의 자아에 기초해 있기 때문에, 자연적 배려의 감정이 더 근원적이고 윤리적 배려는 자연적 배려에 기초한다.“라고 작성해도 될까요? (2) 추가로 나바에즈 관련 질문드립니다. 도덕적 정체성은 도덕 스키마에 대한 접근에 영향을 미치고, 도덕적 목적이 개인의 정체성에 중요하고 본질적인 부분으로 자리잡을 때 도덕 스키마를 지향하는 접근도가 높아진다고 되어 있습니다. 블라지의 도덕적 정체성 형성 과정과 비슷한 것 같아, 혹시 나바에즈의 이론이 통합적 이론이라는 점에서, 블라지의 도덕적 정체성 형성 과정 이론에 영향을 받았는지, 그리고 위 설명을 블라지의 도덕적 정체성의 성격과 비슷하게 이해하면 될 지 질문드립니다. 또, 삼층 윤리-관여 윤리-관여 불안 내용에서, 공감적 유효성의 구성 요소를 구비하지 못 했다는 것이 무슨 의미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확인 감사드립니다.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