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0월 강의질문] 롤스 반성적 평형 상태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24년 09월 22일 23시 30분
- 조회수
- 174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원초적 입장은 반성적 평형 과정의 산물이 아닙니다. 원초적 입장 그 자체가 반성적 평형 상태입니다.
“우선 그것이 일반적으로 공유되고 있는 다소 미약한 조건을 나타내는 그러한 상황을 기술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한다. 다음에는 이러한 조건들이 의미 있는 원칙들의 체계를 제시할 정도로 충분히 강한 것인가를 살펴야 한다.”에서 ‘조건들’은 원초적 입장을 구성하는 조건들 혹은 철학적 가정들을 말하는 것이고, 원칙들의 체계란 정의의 원칙들의 체계를 말합니다. 따라서 위 롤스의 주장은 원초적 입장을 구성하는 조건들을 기술한 후에 그것으로부터, 즉 그러한 조건들로 이루어진 원초적 입장으로부터 우리가 의미 있는 정의의 원칙들을 도출할 수 있는지 살펴보아야 한다는 주장입니다.
▒▒▒▒▒▒ [이지우 회원님의 글] ▒▒▒▒▒▒
교수님, 안녕하세요!
정치 교재 p.193에 수록된 원문을 보면 반성적 평형 용어 설명에 ‘평형이라고 하는 것은 최종적으로 우리의 원칙과 판단들이 서로 들어맞기 때
문’이라고 되어 있습니다.
저는 반성적 평형 과정을 거쳐 원초적 입장을 구성원들끼리 합의하는 것이고, 그렇게 합의한 원초적 입장에서 정의의 원칙을 도출하는 것으로
이해하였습니다.
‘원초적 입장이 선, 정의의 원칙 도출’이 후인데 평형 용어 설명에서의 원칙은 무슨 원칙을 말하는 건지 궁금합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