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월 강의질문] 환경 윤리 파트 기출문제에 대한 질문입니다.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24년 09월 30일 20시 51분
- 조회수
- 80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네. 두 선지 모두 심층생태주의에 대한 비판에 해당합니다. 그런데 인간과 자연의 차이, 생명체들 간의 생명 가치의 질적 차이를 주장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두 선지는 인간중심주의의 관점에서 행해진 비판으로 보는 것이 타당합니다. 왜냐하면 동물중심주의자를 포함한 개체론자들은 인간과 자연 사이의 차이점가 아니라 공통점을 강조하고, 그러한 공통점에 근거하여 환경윤리학적 주장을 펼치기 때문입니다.
2. 둘 모두 생태중심주의에 속하는 이론입니다. 따라서 둘 사이의 차이점을 파악하고자 노력할 필요는 없어 보입니다. 대지윤리를 주창한 레오폴드의 주장과 심층생태주의의 창시자인 네스의 주장을 각각 명확히 이해하시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윤채린 회원님의 글] ▒▒▒▒▒▒
안녕하세요, 교수님. 기출분석교재 p.650 3번 문제에서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글
남깁니다.
1. (3)도덕적 책임의 주체인 인간과 책임의 대상인 자연의 차이를 간과하고 있다.
(4)생명체들 간에 존재하는 생명 가치의 질적 차이를 인정하지 않는다.
이 두 선지가 (가)의 정의의 원칙에 비추어 봤을 때 심층생태주의에 대한 비판할 내
용이 아니었을 뿐이지, 심층생태주의에 대한 비판 논리는 맞는 건가요?
만약 3번, 4번 선지가 심층생태주의에 대한 비판 논리가 맞다면 3번, 4번 모두
인간중심주의자와 동물중심주의자들이 생태중심주의자들을 비판할 때 쓰는 논리
인가요?
2. 심층생태주의와 대지윤리가 둘 다 생태중심주의의 하위 분류에 속하는 것으로 이
해했는데 심층생태주의와 대지윤리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둘 다 생태계 전체를
중시한다는 점에서 똑같다는 생각이 들어서 차이점이 궁금합니다.
본문